한탄강 청년어부와 참게 들어올린 김동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4 17:20:28
  • -
  • +
  • 인쇄
▲ 김동연 지사와 한탄강 청년어부 김은범씨

[뉴스스텝] 김동연 지사가 이번에는 달달투어 도중 ‘한탄강 청년어부’를 만났다. 바다에서 하는 어업 외에 내수면어업(육지의 하천, 호수 같은 담수에서 이뤄지는 어업)을 지원하겠다는 메시지였다.

‘한탄강 청년어부’는 구독자 17만 명을 자랑하는 유튜브 채널 이름이자 운영자인 1988년생 김은범씨의 닉네임이기도 하다.

오늘 김 지사는 임진강(임진강은 한탄강과 같은 줄기) 수위 점검을 한 뒤 조업을 마치고 돌아온 한탄강 청년어부의 고깃배 ‘왕건1호’에 성큼 올라섰다. 청년어부가 활어통 뚜껑을 열어 갓 잡아온 물고기를 뜰채로 들어올려 김 지사에게 보여줬다.

만선까지는 아니어도 활어통에는 물고기가 가득 담겨 있었다. 메기,쏘가리, 장어, 빠가사리 등도 보였다.

청년어부 김은범씨가 또 한 개의 활어통을 열자 참게가 그득했다.

김 지사는 청년어부와 함께 어획한 참게를 자동차로 옮겨 실었다.

청년어부 김은범 씨는 한탄강(또는 임진강)에서 직접 잡은 물고기로 밀키트를 제작해 온라인 판매하고 있다. 전국에서 민물고기로 밀키트를 만든 것은 그가 처음이라고 한다. 한탄강 어획물로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만들 꿈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 ‘한탄강 청년어부’는 단순한 유튜브 채널이 아니라 하나의 ‘새로운 어업모델’이라 할 수 있다.

김은범씨는 2017년 내수면 어업을 시작했으며 2024년 수산업경영인 어업인 후계자로 선정됐다. 그가 제작한 유튜브 영상 가운데 황복잡이 영상은 85만 조회수를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도는 한탄강 청년어부 같은 어업인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중이다.

1)매년 2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뱀장어, 쏘가리 등 11종을 강하천에 방류하고 있다.

2)인공산란장 44곳을 관리중이다.

3)내수면 어선의 노후 엔진 교체 등을 지원하고 있다.

4)귀어 희망인들의 귀촌과 정착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전국 최초로 어업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고 보상하는 ‘농어민 기회소득’을 지급하고 있다.

오늘은 제철(산란기인 4~6월)이 아닌 탓에 ‘임진강 황복’은 구경하지 못했다. 한때 소멸 위기에 처한 황복을 지키기 위해 경기도는 2003년부터 23년째 치어를 방류하고 있다. 이런 지속적인 정책에 어민의 노력이 어우러져 황복은 여전히 임진강의 명물이다.

김동연 지사와 경기도는 되살아난 ‘임진강 황복’처럼, 어촌 회복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논산시, 농업인과 함께한 가을 벼베기… 수확의 기쁨 나눴다

[뉴스스텝] 논산시가 풍요로운 수확의 계절을 맞아 지역 농업인이 함께하는 벼베기 현장을 찾았다.15일 논산시 광석면 이사리 일원에서 (사)후계농업경영인 논산지회(회장 강용인)가 주최하는 벼베기 행사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백성현 논산시장과 관계 공무원, 농업인단체 임원 등 30여 명이 참석해 가을 수확의 기쁨을 함께 나눴다.이날 수확한 벼는 ‘보람찰벼’로 찰기가 뛰어나고 식감이 부드러워 찰밥, 떡 등 다

괴산군, 연풍면 도시재생사업 본격 추진

[뉴스스텝] 충청북도 괴산군은 총사업비 250억 원을 투입해 연풍면 도시재생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연풍은 조령 3관문과 이화령고개 등으로 잘 알려진 지역으로, 트레킹과 자전거 여행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곳이다.군은 2027년까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살려 체류형 관광거점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구상이다.사업은 연풍으로 오는길 연풍여행자플랫폼 안전한 자연쉼터 연풍 등 3개 프

울산도서관 ‘한국 도서관운동 선구자 간송 엄대섭 전(展)’개최

[뉴스스텝] 울산도서관은 10월 16일부터 31일까지 도서관 1층 로비에서 ‘한국 도서관운동 선구자 간송 엄대섭 전(展)’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전시는 울산 출신 도서관운동가 간송(澗松) 엄대섭 선생의 삶과 도서관 정신을 재조명하고 지역의 문화적 자부심을 고취하고자 마련됐다.지난 2023년부터 매년 전시를 이어오고 있다. 전시에는 활동 기록 사진 15점과 도서 30여 점 등이 전시될 예정이다.간송(澗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