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의회 김기철 의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강원사과연구소 설립해야!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03 16:40:24
  • -
  • +
  • 인쇄
한국은행 기후위험지수(CRI) 전국 1.731, 강원은 2.59
▲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김기철 의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강원사과연구소 설립해야!

[뉴스스텝] 김기철 강원특별자치도의원(안전건설위,정선)은 12월 2일 실시된 ‘2025년도 강원특별자치도 예산안’ 예산결산위원회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강원의 농지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강원사과연구소(가칭)를 설립할 것’을 주장했다.

김의원은 “한국은행이 개발한 ‘기후위험지수(CRI)에 의하면, 1980부터 2000년을 0으로 설정했을 때, 2001부터 2023년에는 1.731로 상승하여 2000년대 들어 이상기후의 빈도·강도가 높아지고 그 위험성이 눈에 띄게 증가한 걸로 나타났다”면서 “ 특히 강원도가 2.59로 동해의 수온 상승에 따른 열팽창효과로 이상고온 빈도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이상기후 지표인 ‘기후위험지수(CRI, Climate Risk Index)’를 최초로 개발해 발표했다.

기후위험지수는 이상고온, 이상저온, 강수량, 가뭄, 해수면 높이의 변화 추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지표이다.

기후 변화 추이를 종합적으로 포착하고,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경제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다.

김의원은 “농촌진흥청이 제시한 기후변화 시나리오(SSP5-8.5)에 의하면 2050년대가 되면 대한민국에서 사과를 재배할 수 있는 곳은 강원 고랭지 뿐”이라면서 “강원의 여름철 이상고온으로 고랭지 채소 생산량은 줄고 수익성은 악화되고 있지만 비교적 서늘한 기후에서 자라는 온대과수인 사과는 재배면적, 생산량, 소득 측면에서 괄목상대할 만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사과의 주산지였던 경북의 평균기온은 지난 45년 동안 0.63℃ 상승해 아열대 기후로 변화 중이고 ´22년 월 평균기온이 8개월 이상 10℃를 웃도는 등 이미 아열대 기후에 진입한 상태로서 사과 재배면적이 점차 줄고 있는 추세이다.

김의원은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사과와 같은 신소득작물을 발굴하여생산성·품질 저하 문제를 극복하고 소비자 수요에 부응하는 다양한 신품종 육성·개발·보급, 재해 예방·절감 기술 개발 등 R·D를 강화할 것”과 “이를 위해 강원사과연구소를 시급히 설립하여 정부의 ‘사과프로젝트’와 연계해 강원도 5대 사과 산지를 중심으로 미래형 스마트 과원 조성과 거점 APC 건립 등 적극적인 투자를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춘천 우리내꿈터 이용자, 강원도 장애인 IT경진대회서 쾌거

[뉴스스텝] 춘천지역 정신재활시설인 우리내꿈터 이용자들이 제21회 강원특별자치도 장애인 IT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강원특별자치도와 강원일보가 주최하고, 강원특별자치도장애인재활협회와 강원특별자치도장애인재활지원센터가 주관한 ‘제21회 강원특별자치도 장애인 IT 경진대회’ ITQ 한글 종목에서 한승우 이용자가 최우수상, 김승기 이용자가 우수상을 수상했다. 두 이용자는 약 2년간 꾸준히 ITQ 한글 자

함양문화원 문화강좌 수강생, 다양한 대회에서 우수 성과

[뉴스스텝] 함양문화원 문화강좌 수강생들이 최근 다양한 국내외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지역 문화예술의 위상을 높였다.먼저, 시조창반 수강생들은 경상남도지사 주최 제18회 한‧중‧일 전국시조합창 경연대회에 참가해 합창부 장원의 영예를 안았으며 문인화반 수강생들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제73회 개천예술제 문인화 부문에서 강춘자가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제42회 함양전국휘호대회에서는 강춘자, 권위수,

강릉시, 2025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4년 연속 수상 쾌거

[뉴스스텝] 강릉시는 9월 30일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시상식에서 4년 연속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특히 강릉시는 2025년에도 ‘우수상’을 수상함으로써,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우수상 수상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뤘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은 고용노동부가 매년 전국 광역·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 노력과 실적 등을 평가하여 성과가 우수한 자치단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