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슬, '미스트롯3' 3라운드 추가 합격 쾌거! 탈락 위기 딛고 구사일생!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4 16:00:05
  • -
  • +
  • 인쇄
▲ [사진 제공: TV CHOSUN '미스트롯3' 방송 캡처]

[뉴스스텝] 트로트 오뚜기 정슬이 ‘미스트롯3’ 추가 합격 쾌거를 이뤘다.

에이치앤이엔티 소속 정슬이 ‘미스트롯3’ 2라운드 장르별 팀미션에서 팀 탈락 위기를 딛고 추가 합격, 3라운드에 진출해 꿈을 향한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요정같은 비주얼과 화끈한 퍼포먼스, 그리고 흔들림 없는 가창력으로 마스터들의 눈도장을 제대로 찍었다.

특히 듣는 것만으로도 설렘을 부르는 옥구‘슬’ 보이스는 시청자들의 마음을 제대로 저격 중이다.

등장부터 과즙미 가득한 미소를 띠며 등장한 정슬과 대학부는 위풍당당한 MZ트롯으로 이목을 집중시켰다.

지난 1라운드 당시 ‘꽃길’로 청아한 음색을 뽐내며 2라운드에 진출한 정슬은 세미트롯 장르 중 김태연의 ‘오세요’로 색다른 무대를 꾸몄다.

힘찬 파이팅과 함께 음악이 시작되자 정슬은 귀여운 안무와 싱그러운 미소로 마스터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무엇보다 댄스 브레이크에서 안정적인 춤 실력으로 센터에서 중심을 잡아주며 퍼포먼스 협회의 감탄을 유발했다.

풋풋함과 섹시함, 파워풀함까지 모두 잡았지만 12하트를 받으며 탈락 위기에 놓여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2라운드가 종료되고 25명이 3라운드 진출을 확정한 가운데 추가 합격자로 호명된 정슬은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위기에도 굴하지 않고 꿈을 향해 성큼성큼 전진하는 정슬의 끈기가 보는 이들을 흐뭇하게 만들었다. 이에 정슬이 3라운드에서는 어떤 변신을 보여줄지 궁금해지는 상황.

이런 가운데 정슬의 숨겨진 사연도 밝혀져 눈길을 끈다. 노래를 하고 싶다는 간절한 꿈을 품고 계속 노력했지만 난관에 부딪히고 만 것.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긍정의 에너지가 시청자들을 감동케 하고 있다.

정슬의 무대가 공개될 때마다 커뮤니티에는 “정슬 음색 완전 매력적이다”, “트로트에서 신선미가 느껴진다”, “진짜 우승은 이 분일 듯” 등 뜨거운 응원과 반응이 쏟아진 터.

매 라운드 예상을 뛰어넘는 무대를 보여주는 정슬이 3라운드에서는 어떤 감동을 선사할지 기대된다.

트로트 고막 여친 정슬의 옥구‘슬’ 보이스를 감상할 수 있는 TV CHOSUN ‘미스트롯3’는 매주 목요일 밤 10시에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