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회 부산 사상강변축제 10월 12일~13일 삼락생태공원서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8 15:20:14
  • -
  • +
  • 인쇄
▲ 제21회 부산 사상강변축제 10월 12일~13일 삼락생태공원서 개최

[뉴스스텝] 부산의 대표 가을축제이자 사상구 최대 축제인 ‘2024 사상강변축제' 가 10월 12일부터 13일까지 삼락생태공원 문화마당 일원에서 열린다.

올해로 21회째를 맞이한 사상강변축제는‘대한민국의 미래 정원을 품다’라는 주제로 삼락생태공원의 국가정원 지정을 위한 사상구민과 부산시민의 염원을 담는다.

축제에는 국내 정상급 가수의 특별 공연 퍼레이드를 비롯해 미디어 퍼포먼스, 멀티미디어 불꽃쇼, 사상구민과 전국 각지에서 출전한 참가자들이 펼치는 사상강변가요제, 구립예술단 공연, 다문화 박람회 등 평소 접할 수 없는 다채로운 공연과 신나는 체험 행사들로 가득하다.

축제 첫날-10월 12일

제21회 사상강변축제의 개막을 알리는 식전행사가 오후 4시부터 1시간 동안 진행된다. 버닝소다ž스카이웨이커스ž밴드휴고 3개 밴드의 삼락공원의 국가정원 지정 기원 3-Rock 환경콘서트에 이어 사상구 소년소녀합창단, 여성합창단, 청소년오케스트라의 공연으로 개막식의 포문을 연다.

오후 6시 00분부터 ‘사상의 숨결, 생태의 정원’의 메시지를 담은 멀티미디어 퍼포먼스가 미래정원 도시로 성장하고 있는 사상구의 비전을 선보이며, 오후 6시 30분부터 사상강변음악회에서는 트로트 가수 금잔디와 비스타, 밴드 카노 등이 출연해 신나고 흥겨운 무대를 선사한다.

축제 첫날의 대미는 오후 8시 00분 ‘멀티미디어 불꽃쇼’로 장식한다. 형형색색의 화려한 조명과 어우러진 레이저쇼와 불꽃쇼 향연. 10분간 사상구 가을하늘을 수놓으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축제 둘째날-10월 13일

첫날에 이어 둘째날 역시 흥겹고 신나는 프로그램으로 관람객을 맞이한다. 낮 12시 00분부터 오후 3시까지 주민자치 동아리 12개팀의 실력을 뽐내는 발표회가 열린다. 사물놀이, 라인댄스, 트로트 장구, 밸리댄스 등 수강생들의 갈고 닦은 실력을 뽐낸다.

이후 오후 4시에는 인도 마술사, 해산물 마술사 등이 공중부양, 페이퍼 등 다양한 매직으로 관중을 매료시킬것이며 오후 6시부터 초청가수 박서진이 축제를 빛내는 가운데 사상구민과 전국 각지에서 출전한 참가자들이 펼치는 사상강변가요제가 열릴 것이다.

이밖에 이번 축제에는 제8회 사상예술제, 다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다문화 박람회와 구민백일장 및 미술실기대회, 반려동물 축제, 사상 로봇 랜드, 사상 공룡 월드, 먹거리장터 등 풍성한 부대행사들도 가득하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포항시 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 최우수쉼터 평가…성평등가족부 장관상 수상

[뉴스스텝] 포항시는 지난 5일 서울 연세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 청소년복지시설 운영성과 보고대회’에서 포항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가 최우수쉼터로 평가받아 성평등가족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성평등가족부는 전국 청소년복지시설 쉼터를 대상으로 3년마다 시설환경·안전관리 등 6개 분야에 걸친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총 134개 청소년쉼터가 대상이었다.포항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는 S등

창원특례시, 비수도권 특례시 제도 개선 논의의 장 마련

[뉴스스텝] 창원특례시는 6일 리베라컨벤션에서 비수도권 특례시가 직면한 제도적 한계를 진단하고 실질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창원시자치분권협의회가 주관하고 창원특례시가 주최했다. 인구감소와 제도적 한계로 인한 비수도권 특례시의 어려움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실질적 권한 확보를 위한 정책적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자성

보령시 식품안전관리 강화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직무교육’ 실시

[뉴스스텝] 보령시는 6일 보령시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16명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직무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식품위생법' 제33조에 따라 실시된 정기교육으로,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의 기본소양 및 직무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교육은 2025년 식품안전관리 정책 방향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운영 식품위생 감시 사례를 통한 소비자식품위생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