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의회 최재민 도의원, “전자칠판은 AI 디지털교과서 보급에 맞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1-26 15:10:23
  • -
  • +
  • 인쇄
3년간 순차 지원하고, 150여억원 예산 삭감해야”
▲ 강원도의회 최재민 도의원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최재민 의원(국민의힘, 원주)은 26일 실시된 2025년도 강원특별자치도교육비특별회계 예산안 심사에서 ‘학교전자칠판 사업’의 보급 대상 및 보급 유형, 적정 가격, 구매 방법 등에 대해 지적하면서, 예산 187억 중 150여억원을 삭감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교육위원회 최 의원은 “전자칠판은 AI 디지털교과서가 적용되는 대상 학년에 맞춰 순차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며, “2025년에는 초3, 초4, 중1, 고1 4개 학년에 디지털교과서가 보급되는 만큼, 해당 학년의 학급당 1대씩 지원하는 것(23년에 기보급된 학교의 대상 학급 제외)이 적절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치원을 제외하고 기존에 보급된 학교 중 기설치된 대상 학급을 제외하면 약 800개 학급으로 예상되며, 대당 400만원으로 비용추계 시, 전자칠판사업 총액은 약 32억원이 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 의원은 “태블릿형 전자칠판은 일반칠판 대비 판서감이 좋지 않고, 패널 발열에 따른 고장의 원인이 있으므로, 기존 칠판자리에 고정형으로 매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며, “반드시 이동형으로만 보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조달청 나라장터에서 전자칠판 가격은 대당 440만원 내외이며, 동일 회사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대당 220만원 내외이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교육청이 책정한 이동형 칠판의 대당 600만원의 가격은 과한 금액이다”라며 비판을 이어갔다.

이어 최 의원은 “전자칠판 업계 관계자를 통해 확인한 결과, 86인치 전자칠판의 99%는 중국산이며, 원가는 평균 150만원에서 180만원 수준이다”라며, “공공조달이라는 이유로 원가의 4~5배가 넘는 금액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라며 지적했다.

한편 최 의원은 “전자칠판의 구매 방법 역시 개선해야 한다”며, “학교별 개별 구매가 아닌 도교육청의 전자입찰을 통한 통합구매를 실시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리베이트 관련 의혹 해소는 물론이며, 유지 보수 관리 역시 철저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최 의원은 “지금까지 종합한 내용을 토대로 도교육청에서 신규 편성한 ‘학교전자칠판사업’의 187억 예산 중 150여억원은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당진시, 심훈 문학 속 음식 이야기 체험 프로그램 성료

[뉴스스텝] 당진시는 광복80주년 및 심훈 상록수 집필 90주년을 맞이해 지난 26일 심훈기념관에서 ‘심훈 문학 속 음식 이야기’를 주제로 한 특별 체험 프로그램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30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은 심훈 선생의 소설 《상록수》 속 음식 담론, 토속 음식 무청 짠지 이야기, 수필 《낙화》의 문구 “연꽃은 떨어지기조차 곱게한다”를 모티브로 한 특별 체험으로, 사전에 사연 공모를 통해 선정된 일반

예산군, 10월 예산사랑상품권 15% 할인판매 실시

[뉴스스텝] 예산군은 지역자금 역외 유출을 방지하고 소비 촉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10월 1일부터 예산사랑상품권 15% 할인판매를 진행한다.할인판매 금액은 총 20억원으로, 지류형 8억원, 모바일형 12억원이며, 1인당 구매한도는 40만원이다.판매는 상품권 소진 시까지 이어지며, 지류형 상품권은 농협은행 군지부를 포함한 43개 판매대행점에서 구매 가능하다.모바일형 상품권(카드·QR)은 ‘지역상품

충청북도교육청 교육도서관, 언제나 책봄 ! 10월 북큐레이션 사서추천도서 선정

[뉴스스텝] 충청북도교육청 직속기관 교육도서관은 '사람답게 살고 있습니까, 휴먼?(인권)'을 주제로 2025년 언제나 책봄 열두달 북큐레이션 10월 사서추천도서 30권을 선정했다.이번 주제는 인권을 키워드로, 책 속 이야기를 통해 차별과 불평등을 돌아보고, 인간다운 삶의 가치와 존엄을 되새길 수 있는 도서로 구성했다.쉽고 따뜻한 이야기 속에서 인권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공감과 존중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