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6.25전쟁 제74주년 기념행사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6-25 15:15:10
  • -
  • +
  • 인쇄
6.25 전쟁의 생생한 증언을 후대에 전하는 ‘영웅의 이야기’ 제작
▲ 강원특별자치도, 6.25전쟁 제74주년 기념행사 개최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는 춘천시와 공동주관으로 '6.25전쟁 제74주년 기념행사'를 2024.6.25 11:00 춘천 스카이컨벤션에서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9개 시군의 6.25참전유공자 200여명을 비롯하여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도의원, 언론사 등 주요 기관, 단체장, 보훈단체 회원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기념행사는 강원특별자치도가 6.25전쟁 참전용사의 생생한 증언을 바탕으로 6.25전쟁의 교훈을 영구 보존하고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재조명 하기 위해 제작한 ‘영웅의 이야기’ 상영에 이어,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및 시장, 군수가 6.25전쟁 참전용사에게 카네이션을 달아드리며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에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밖에 도민의 안보의식 고취와 보훈정신 확산에 기여한 유공자에 대한 도지사 표창 수여가 있었으며, 진승균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 강원특별자치도지부장 회고사,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기념사, 염기원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 춘천시지회장 추념사에 이어 감사공연, 6.25노래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작년 6.25 전쟁 기념행사에서 카네이션을 달아드리겠다고 약속했는데 오늘 카네이션을 달아드릴 수 있어 감격”이라며 참전용사 어르신들의 건강을 염원했고, “지난번 푸틴이 북한을 방문해, 북한과 러시아 중 한쪽이 무력침공을 받을 경우 지체 없이 군사 및 기타원조를 제공한다는 조약을 맺었다” 면서, “이는 6.25 당시에도 없었던 조약으로 소련은 끝까지 북한에 대한 배후 지원을 부인했는데, 지난번 방북에서 6.25 전쟁동안 소련 공군이 수만 번의 전투 비행을 했다는 것을 밝히며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인정했다”고 이야기했다.

덧붙여, “6.25 당시에는 상호 군사조약 없이도 수만 번의 전투비행을 했는데, 이제는 버젓이 대놓고 군사조약을 맺은 만큼 우리는 냉철하게 분석하고 대비해야 할 것”을 밝혔다.

끝으로, “춘천대첩은 파죽지세로 패를 당하던 상황에서 우리 국군에게 싸우면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안겨준 6.25의 첫 승리” 라며, “그 정신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와 강원특별자치도가 탄생된 것” 이라며, “춘천대첩의 자신감이 대한민국을 지켜냈듯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싹튼 자신감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앞으로 도에서는 금일 상영된 ‘영웅의 이야기’ 영상을 도와 시군의 유튜브 등을 통해 홍보하며 보훈 문화 확산과 참전유공자 예우에 더욱 노력해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성남시, 내년 38억원 투입해 장애인 252명에 공공일자리 제공

[뉴스스텝] 성남시는 내년도 장애인 공공일자리 사업에 38억원을 투입해 252명에게 관공서, 복지시설, 비영리민간단체 등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한다.시는 오는 11월 12일부터 19일까지 △일반형 전일제 72명 △일반형 시간제 31명 △복지 일자리 149명 등 3개 유형에서 사업 참여 희망자를 모집한다일반형 전일제는 내년 1월~12월 주 40시간 근무에 월급 215만6880원을, 시간제는 주 20시간 근무에

원주시 대표단, 국제자매도시 '중국 허페이시' 방문

[뉴스스텝] 원주시는 오는 8일부터 11일까지 중국 허페이시에 대표단을 파견해 국제자매도시 간 문화예술 교류 행사를 진행하고, ‘2025 허페이 국제마라톤대회’에도 참가한다.강지원 행정국장을 단장으로 한 원주시 대표단은 문화예술 교류팀과 마라톤 대표팀으로 구성됐다.문화예술 교류팀은 박태봉 문화교육국장과 채수남 (사)한국예총 원주지회장을 비롯한 원주예총 회원 등으로 이뤄졌으며, 허페이시 문련 소속 문화예술인들과

당진시, 염소 사육 농가 대상 기술 전문교육 실시

[뉴스스텝] 당진시농업기술센터는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농업기술센터 및 부여군 염소경매장에서 관내 염소 사육 농가 40명을 대상으로 품목별 맞춤교육으로 염소 사육 기술 전문교육 실시했다고 7일 밝혔다.최근 몇 년간 염소 사육 농가 수 증가와 염소 고기의 건강식 수요 증가로 매년 염소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센터는 염소 고기의 품질 경쟁력 확보와 생산비 절감을 위해 맞춤형 교육에 나섰다.이번에 실시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