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 공공체육시설 통합시스템 운영으로 시민 건강 증진 및 체육활성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06 14:50:50
  • -
  • +
  • 인쇄
지난 2024년 6월 조례개정 및 관내 체육시설 통합예약시스템 도입 이후 이용자 편익 증대 및 시설 사용의 투명성 제고로 시민 호응
▲ 여주시청

[뉴스스텝] 여주시는 시민의 건강 증진과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지난 6월 공공체육시설 통합시스템 도입과 더불어 사용료 징수 방법 및 감면 비율 등을 조정하는 사항을 포함한 '여주시 체육시설 설치와 운영에 관한 조례'를 개정하고 현재까지 시행 중으로 체육시설의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다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이 가능하게 되어 시민의 호응이 높다.

이번 통합시스템 도입으로 첫째, 여주시민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사전 예약·접수·결재 일원화하고 이용자들의 과다한 사용료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체육시설 사용료와 부대 시설료(조명,냉난방기 전기료 등)를 통합되어 공공의 투명성과 편익성 모두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둘째, 특정 종목 단체의 체육시설 독점을 방지하여 공공성과 시설 관리의 효율성이 확보됐으며, 현재 이용자 모니터링을 통해 이용 불편사항 및 문제점을 즉각 확인하여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게 됐고 이용자 중심으로 체육시설을 운영할 수 있게 됐다

현재 통합예약시스템은 여주시 모든 체육시설에 구축이 완료되어 여주시 시민이면 누구나 홈페이지(여주시,읍면동,도시공사)를 통하여 사전 예약 및 결재 후 체육시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많은 시설에는 키오스크를 설치하여 이용자들의 편익을 증대하고자 한다.

여주시는 이러한 공공체육시설 공공성 확보 및 이용관리 개선을 위하여 지난해 7월부터 현재까지 체육회 종목별 대표자 및 관련 단체 간담회 추진 등 충분한 협의를 통하여 개선안을 도출하고 시행하게 됐으며, 추후 개별 체육 종목 간담회를 추진하는 등 효율적이고 이용자 중심의 체육시설 이용 방법 도출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충우 여주시장은 “이번 여주시 공공체육시설 통합예약시스템 도입을 통해 시민들이 보다 쉽게 체육시설을 이용하고 활기찬 생활을 영위할 수 있으며, 누구나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체육공간으로 탈바꿈하고 더 나아가 여주시민들에게 건강한 삶을 제공할 수 있는 체육시설 확충 및 운영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제19회 부여연탄은행 재개식 개최

[뉴스스텝] 연탄은행 제18호점인 부여연탄은행(대표 고성래 목사)이 부여중앙성결교회에서 재개식을 열고, 2025년 겨울 연탄 나눔 활동의 시작을 11월 3일 알렸다.이번 행사에는 부여군수를 대신하여 김지태 문화체육복지국장 및 지역 기관과 단체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해 따뜻한 부여 만들기에 함께 뜻을 모았다.부여연탄은행은 지난 2007년 12월 개설 이후, 현재까지 부여군 16개 읍면 지역의 기초생활수급

보령시, '2025 보령시체육회장기 생활체육배구대회' 성료

[뉴스스텝] 보령시는 지난 1일 보령종합체육관에서 ‘2025 보령시체육회장기 생활체육배구대회’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이번 대회는 배구를 사랑하는 시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량을 겨루며 함께 소통하고 즐기는 생활체육의 축제로 마련됐다.보령시 기관·단체팀(보령시청 등) 4개 팀, 관내 학교팀(단일팀 및 연합팀) 4개 팀 등 총 8개 팀이 참가해 열정과 팀워크를 뽐냈다.보령시배구협회가 주최·주관한 이번 대

보육의 진심이 하나로…강동구, 열정과 사랑으로 물든 2025 보육주간

[뉴스스텝] 강동구는 제4회 서울시 보육주간을 맞아 10월 27일, 29일, 31일 3일간 ‘보육인의 마음! 열정, 정성 그리고 사랑’을 주제로 보육주간 기념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서울시 보육주간’은 양육 친화적 환경 조성과 보육‧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을 위해 매년 10월 넷째 주에 운영되고 있다. 구는 2022년부터 이를 기념해 보육교직원과 부모,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다양한 교육과 문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