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 지역 역사와 감성 담은 ‘대구중구읍성체, 대구동성로체, 대구북성로체’ 전용서체 개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2 14:35:53
  • -
  • +
  • 인쇄
‘대구중구읍성체, 대구동성로체, 대구북성로체’ 전용 서체 개발
▲ 대구 중구, 지역 역사와 감성 담은 ‘대구중구읍성체, 대구동성로체, 대구북성로체’ 전용서체 개발

[뉴스스텝] 대구 중구는 중구의 풍부한 역사, 문화, 상징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대구 중구만의 독창적 정체성을 알리기 위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전용 서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서체는 한글 2천780자, 영문 94자, 특수문자 986자로 ‘대구중구읍성 Regular, 대구동성로 Bold, 대구동성로 Regular, 대구북성로 ExtraBold, 대구북성로 Light’ 5종이다.

서체의 특징은 대구 중구의 정체성을 담고 전통을 유지하고 보존하려는 중구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낸 것으로 대구읍성, 동성로, 북성로 등 중구의 주요 문화·역사적 이야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의 의견을 반영하는 다양한 방식을 거쳐 완성했다.

대구중구읍성체는 붓글씨의 형태를 살린 기울어진 글자 축으로 표현하고 글자 마무리에는 획 굵기 차이 대비를 주어 대구 읍성의 전통적인 특색을 표현했다.

대구동성로체는 볼드와 미디엄의 두 가지 타입으로 동성로만이 지닌 젊음과 활기가 넘치는 감성을 담고자 리드미컬한 줄글로 밝고 환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시각 중심을 중앙에 위치시켜 손 글씨의 줄글을 안정적으로 보이도록 구성하고 연상력을 높였다.

대구북성로체는 볼드와 미디엄의 두 가지 타입으로, 북성로에 있는 다양한 역사적 자산과 현대적 감각을 결합한 독창적 디자인으로 전통적이고 무게감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정원에 가까운 ‘o’의 형태로 디자인적인 특징을 부여했다.

이번에 개발한 서체는 구 공식 홈페이지 참여행정란 행정알림에 ‘중구 전용서체’ 메뉴를 별도 개설해 다양한 분야에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포할 예정이다.

구는 서체를 축제, 이벤트 홍보, 간판, 홍보물,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시 활용하고 서체를 적용한 굿즈 제작 등 지역 상품 개발과 함께 중구를 알리는 홍보 수단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류규하 중구청장은 “이번 우리 구 전용 서체 개발로 중구의 문화적 자산이 더욱 널리 알려지고 시민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해 중구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 4일간 대장정 성황리 마무리

[뉴스스텝] ‘음성명작에서 피어난 6가지 이야기’라는 주제로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금왕읍 금빛근린공원에서 열린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이 올해의 음성명작 대상 시상을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올해로 네 번째를 맞이한 음성군 통합농산물 축제인 음성명작페스티벌은 개막부터 축제가 끝나는 날까지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나흘 동안 25만여명이 다녀가 전년도 대비 78.6%의 방문객 증가를 기록하며,

‘춤으로 세계를 품다’ 천안흥타령춤축제에 89만명 방문…"세계적 경쟁력 확인"

[뉴스스텝] 춤으로 세대와 국경을 초월한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가 친환경 드론 라이트쇼를 끝으로 28일 폐막했다.올해 흥타령춤축제는 ‘All that Dance in Cheonan’이란 슬로건으로 24일부터 천안종합운동장과 천안시 일원에서 열렸다.천안시와 천안문화재단은 24일부터 닷새간 89만 4,000명의 국내외 방문객이 축제장을 찾은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61개국 4,000여 명의 무용단과 방문

전남도, 정부 전산 장애 상황 속 도민 서비스 정상화 온힘

[뉴스스텝] 전라남도는 국가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해 도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불편이 예상됨에 따라 수기 처리, 신청기한 연장, 대체 창구 안내 등 방법을 통해 도민 불편 최소화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주민등록등·초본 등 제증명은 읍면동사무소를 직접 방문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입신고는 읍면동 수기 접수를 통해 일괄 소급 적용된다.주민등록증 발급 및 재발급은 시스템 복구 시까지 불가함에 따라 과태료는 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