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향교 추기 석전제 봉행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9-01 14:35:27
  • -
  • +
  • 인쇄
9월 1일, 추기 석전제 봉행
▲ 삼척향교 추기 석전제 봉행

[뉴스스텝] 삼척향교에서 9월 1일 추기 석전제를 봉행했다.

이번 추기 석전제 헌관은 초헌관 박상수 삼척시장, 아헌관 조성운 강원도의회 의원, 종헌관 심진업 삼척향교 감사가 맡아 제사를 올렸다.

석전제는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를 위시(爲始)한 4성 18현을 추모하고 덕을 기리기 위해 매년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을 택해 봉행하는 행사이다.

이번 추기 석전제에서는 석전제례뿐 아니라 삼척향교 석물 일괄(관수대, 하마비, 성생대, 망료석함)이 강원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됨에 따라 강원도 문화재 지정서 전달도 이루어졌다.

삼척시 관계자는 “지금까지 삼척향교에서 행해진 모든 석전 제례가 의미 있는 의식이었지만, 특히나 이번 석전제는 석전 의식에 사용되는 석물 일괄이 그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강원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된 후 지내는 첫 제례로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며 “추후 제례과정에 대한 연구·복원을 통해 석전제가 온전히 설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삼척향교는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난 8월 19일 삼척향교 석물 일괄(관수대, 하마비, 성생대, 망료석함)이 강원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됐다. 관수대는 손을 씻는 제향 석물이며, 하마비는 효종 7년(1656)에 세운 것으로 모든 관리는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가진 ‘대소인원하마비(大小人員下馬碑)’라고 새겨져 있다. 성생대는 제향에 사용할 제물을 올려놓고 제물의 건강상태와 영양상태를 살피던 곳으로 강원도 소재 향교에서는 유일한 것으로 여겨지며, 망료석함은 축문을 태우는 석함으로 삼척 부사로 부임했던 이지온(李之馧)이 1656년 제작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시흥시 거북섬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추석맞이 행복꾸러미' 나눔 진행

[뉴스스텝] 시흥시 거북섬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난 9월 23일 추석을 맞아 관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추석맞이 행복꾸러미 나눔’을 진행했다.이번 행사는 홀로 명절을 보내거나 생활이 어려운 가구가 따뜻한 추석을 보낼 수 있도록 마련됐으며, 꾸러미에는 과일, 견과류, 김 등이 담겼다. 협의체 위원들은 직접 가정을 방문해 물품을 전달하고 안부를 확인하며 따뜻한 마음을 전했다.박순여 민간위원장은 “추석을 앞두

동두천시 환경사업소, 소요13통에 추석맞이 백미 20포, 라면 10박스 전달

[뉴스스텝] 동두천시 환경사업소는 9월 22일 추석을 앞두고 백미(10㎏) 20포와 라면 10박스를 소요13통 마을발전위원회에 기탁했다고 밝혔다.환경사업소는 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를 계기로 소요13통 마을발전위원회와 인연을 맺은 뒤 매년 간담회를 열어 주민 건의사항을 청취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지속적으로 소통해 왔다.올해도 직원들이 십시일반 성금을 모아 마련한 백미와 라면을 지역 내 취약계층 주민들에

시흥시 대야동, 추석 맞아 경로당 29곳 위문

[뉴스스텝] 시흥시 대야동은 지난 9월 23일 민족 고유의 명절인 추석을 맞아 관내 경로당 29곳을 방문해 어르신들에게 따뜻한 인사를 전하고 위문품을 전달했다.이번 방문은 대야동 마을자치과장이 직접 경로당을 찾아 커피, 라면 등 위문품을 전달하며 어르신들의 건강과 안부를 확인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날 위문을 받은 어르신들은 “이렇게 직접 찾아와 안부를 묻고 선물을 전해주니 정말 마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