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로 재해석한 한국판 '레 미제라블' '구구선사람들' 영덕에 판을 열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6 14:15:13
  • -
  • +
  • 인쇄
▲ 판소리로 재해석한 한국판 '레 미제라블' '구구선사람들' 영덕에 판을 열다!

[뉴스스텝] 영덕문화관광재단은 오는 9월 16일부터 17일까지 영덕무형문화재전수관에서 프랑스 대문호 빅토르 위고의 소설'레 미제라블'을 판소리로 재해석한‘판소리 레미제라블 - 구구선 사람들'을 공연한다고 밝혔다.

(재)예술경영지원센터 2023 공연유통협력지원사업에 선정된‘판소리 레미제라블 – 구구선 사람들’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최하고 영덕문화관광재단과 입과손 스튜디오가 주관하는 공연이다.

본 작품은 등장인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재구성했고, 프랑스 배경과 인물의 이름도 한국식으로 바꿔 관객의 공감과 이해도를 높였다.

또 어느 시대에나 존재하는‘불쌍한 사람들’이 모두 한 배에 타고 있다는 설정으로 사회 구조적 모순을 말하고자 한 원작의 주제를 적극적으로 담아냈다. 소리꾼과 고수 중심의‘전통 판소리’와 배우, 싱어송라이터, 드러머 등의 협업으로 친근감을 높였고 비장하고 엄숙한 이야기 중간 중간에 시원하게 웃음을 터뜨릴 수 있는 재담과 사설도 적재적소에 배치해 재미를 더했다.

3년의 창작 과정을 거친‘판소리 레미제라블 – 구구선 사람들’은 토막소리를 모아 완창 판소리를 완성하는‘전통 판소리’의 연행 방식을 그대로 차용, 토막소리 주제를 여자(팡틴), 아이(가브로슈), 청년(마리우스)’으로 채택해서 무대화했다.

주인공‘장발장’을 중심으로 세 인물의 삶을 하나의 이야기로 엮고 조연에게도 캐릭터를 부여해서 세부 인물의 다양한 서사까지 다채롭게 펼쳐지도록 했다.

또, 이번 공연은 사전에 영덕군 주민을 대상으로 판소리 워크숍을 진행했다는 점도 주목할만하다. 입과손 스튜디오의 판소리 워크숍 '귀명창 프로젝트'는 공연을 앞둔 아티스트들이 지역 주민들의 이해와 흥미를 이끌어내고자 총 5회에 걸쳐 준비했다.

소리꾼 이승희, 고수 이향하가 주축이 된 이 워크숍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은 판소리 전통 장단과 발성, 추임새는 물론 판소리(남도민요) 한 대목을 배우며 다양한 감성을 경험했다. 또 자신의 이야기를 장단에 실어 불러보면서 직접 소리꾼이 되는 시간도 큰 호응을 얻었다.

‘판소리 레미제라블 - 구구선 사람들’공연은 11세 이상이면 누구나 관람할 수 있고관람료는 전석 10,000원. 청소년과 65세 이상, 장애인은 50% 할인이 가능하다.

공연 러닝타임은 110분이며, 예매는 영덕문화관광재단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영덕문화관광재단 홈페이지와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고흥군, ‘제7회 출산친화 가족사진 공모전’ 당선작 전시

[뉴스스텝] 고흥군은 2025년 제7회 출산친화 가족사진 공모전 당선작 전시회를 10월 20일부터 보건소와 군청 로비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이번 공모전은 ‘가족과 함께하는 소중한 일상’을 주제로 가족의 소중함과 출산 친화적 사회 분위기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총 46가정이 72점을 응모했다.전시 작품은 전문가 심사를 거쳐 당선된 최종 18점이다. 손주들과 행복한 일상을 담은 ‘사랑스런 손주들과 함께’

‘성보빈 창원시의원, 국민의힘 경남도당 부대변인 임명’

[뉴스스텝] 창원시의회 성보빈 의원은 지난 17일, 국민의힘 경남도당 부대변인으로 임명됐다고 밝혔다.성 의원은 창원시의원으로서 그동안 지역 발전과 시민의 권익 증진을 위한 의정활동에 매진해왔으며, 행정 전문성과 소통 능력을 인정받아 이번에 경남도당 부대변인으로 발탁됐다.강민국 국민의힘 경남도당 위원장은 “성보빈 부대변인이 도민의 뜻을 세심하게 반영하며, 지역 사회와 당을 연결하는 소통의 가교가 되어주길 기

강서구, 4050세대 위한 감성 맞춤형 만화 서가 운영

[뉴스스텝] 부산 강서구는 4050세대 중장년층의 독서문화 확산과 세대별 맞춤형 도서서비스 강화를 위해 강서도서관 내 ‘4050세대 맞춤형 만화 서가’를 신설·운영한다고 밝혔다.최근 웹툰과 만화 콘텐츠가 전 세대에 걸쳐 큰 인기를 얻고 있으나, 기존 도서관 만화 자료는 청소년 중심으로 구성돼 중장년층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이에 강서도서관은 4050세대의 취향과 공감대를 반영한 만화 코너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