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활 SOS 전화로 해결하세요” 120다산콜센터-다누리콜센터 외국어상담 업무협약 체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6-30 13:55:18
  • -
  • +
  • 인쇄
이주여성・다문화가족 등 외국인의 한국생활・의사소통 지원하는 상담 서비스 연계・협력
▲ 120다산콜재단-한국건강가정진흥원 다누리콜센터 업무협약식

[뉴스스텝] 서울특별시 120다산콜재단과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이 외국어 상담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6월 29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외국인의 한국생활 적응을 돕고 언어로 인해 발생하는 불편사항을 적극 해소하기 위한 서비스 연계‧협업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서울시 출연기관 120다산콜재단이 운영하는 120다산콜센터는 서울시 행정상담 및 민원 접수, 생활・관광 정보, 생활통역 등 외국인을 위한 전화상담 서비스를 5개국어(영어・중국어・일본어・베트남어・몽골어)로 제공하고 있다. 운영시간은 월~금 9:00~18:00(공휴일 제외)이다.

120다산콜센터는 2007년 9월 12일 ‘서울시 민원을 전화 한 통화로 해결한다’는 취지로 창설된 오세훈 시장의 대표적 행정혁신 사례로, 외국어 상담은 2010년 2월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2010년은 서울 G20 정상회의가 개최된 '한국 방문의 해'로, 오 시장이 신년사를 통해 서울시의 글로벌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겠다고 천명한 바 있다.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이 운영하는 다누리콜센터(1577-1366)는 13개 언어로 다문화가족 및 이주여성에게 한국생활 정보 제공 및 위기상담・긴급지원, 생활통역 서비스를 365일 24시간 지원하고 있다. (제공언어: 한국어・영어・중국어・베트남어・타갈로그어・캄보디아어・몽골어・러시아어・일본어・태국어・라오스어・우즈베크어・네팔어)

120다산콜센터와 다누리콜센터는 업무 연계를 통해 외국어 상담 서비스 제공 범위 및 운영시간을 상호 보완하여 외국인의 정보소통 사각지대를 크게 해소할 예정이다. 120다산콜센터는 외국어 상담 미제공 언어 및 미운영 시간의 외국인 상담을 다누리콜센터로 안내하고, 다누리콜센터는 외국인이 서울시 관련 문의를 할 경우 120다산콜센터로 안내한다. 1만 건의 서울시・25개구 업무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원스톱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120다산콜센터와 13개 언어로 365일 24시간 다문화가족 종합상담을 제공하는 다누리콜센터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전주원 이사장 직무대행은 “120다산콜재단과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 정보제공 강화로 다양한 가족의 안정적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계속해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은 “한국건강가정진흥원과 협력하여 정보소통 약자인 외국인이 더 편리한 한국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약자동행 실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정읍시, 세계 자살예방의 날 맞아 ‘생명숲길체험’ 운영

[뉴스스텝] 내장산 숲길에서 열린 ‘생명숲길체험’이 참가자들에게 심리적 안정과 희망을 전하며 의미 있는 시간을 선사했다. 정읍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세계 자살예방의 날(9월 10일)을 맞아 9월을 자살예방주간으로 지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숲길체험도 그 일환으로 마련됐다.지난 12일 샘초롱 클럽하우스 회원들은 내장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에서 출발해 ‘생명사랑 숲 해설가’와 함께 숲길을 걸으

옥천군의회,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주민의견 접수

[뉴스스텝] 옥천군의회는 옥천군의회 제2차 정례회 기간 중 열릴 예정인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 앞서 10월 2일까지 군 행정 발전을 위한 주민들의 의견을 받는다. 행정사무감사는 옥천군과 옥천군 소속 ‘행정기관의 업무 개선사항’을 비롯하여 ‘불합리한 행정처리’, ‘예산낭비’, ‘주민생활 불편사항’ 등에 대한 개선을 위해 매년 실시하고 있다. 주민 제안대상은 업무와 관련된 위법․부당한 행정행위, 예산낭비

고령군, 대서마늘 주아 1세대 종구 170톤 보급!

[뉴스스텝] 고령군은 경북에서 영천시, 의성군에 이어 마늘 재배면적이 세번째로 넓은 마늘 주산지이자 지리적으로 인접한 경남 창녕군, 합천군과 함께 전국 대서마늘 산업을 선도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군에서는 체계적인 계획하에 단일 작물 중 연매출액이 가장 높은 대표 작물 중 하나인 마늘 산업의 육성과 안정적 보급·생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사업으로 대서마늘 우량종구(씨마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