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군, 올해 공모사업 11건 선정돼 국·도비 등 462억원 확보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2-27 13:40:35
  • -
  • +
  • 인쇄
낙산지구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 2023년 지역개발사업(투자선도지구) 등 총 11개 사업
▲ 양양군, 올해 공모사업 11건 선정돼 국·도비 등 462억원 확보

[뉴스스텝] 양양군이 다양한 분야의 공모사업에 도전해 올해 최종 11개 사업이 선정되어 462억 원의 국·도비 및 민간투자 사업비를 확보하며 군민 생활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발판을 마련했다. 총사업비는 국·도비, 민간투자비, 군비를 포함하여 59,871백만원이며, 올해 선정된 공모사업은, 2023년 지역개발사업(투자선도지구)(최대 10,000백만원)(금액 조정될 수 있음), 공동육아나눔터 리모델링 지원사업(84백만원), 2023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정사업(신규도시)(230백만원), 2024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1,756백만원), 2023 강원특별자치도 워케이션 활성화 공모사업(120백만원), 낙산지구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46,000백만원), 2023년 우수어촌계 지원사업(100백만원), 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 사업(66백만원), 2023년 농촌마을 활력 프로젝트 사업(870백만원), 2023년 청년농업인 창업기반구축 지원사업(140백만원), 2023년 지역활력화 작목기반 조성사업(505백만원) 등이다.

선정 분야로는 지역개발, 농어촌개발, 사회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선정됐다.

특히, 국토교통부 주관 지역개발사업 투자선도 부문에 선정되어, 동해북부선 양양역과 연계한 도시환경 정비 등 도시개발사업 분야에 집중 투자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지난 2021년 양양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에 선정되어 국도비 290억원(총사업비 485억원)을 확보한 데 이어, 올해 낙산지구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에도 선정되어 국도비 345억원(총사업비 460억원)을 확보하는 등 주민들이 안심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도 노력하고 있다.

군은 앞으로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로 공모사업의 축소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군정 발전을 위한 공모사업 발굴과 선정을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한편, 군은 2019년에는 11개 사업에서 123억원, 2020년 17개 사업에 192억 5,200만 원, 2021년 27개 사업에 487억 7,500만 원, 2022년 14개 사업에 약 600억 원의 국·도비 및 민간투자 재원을 확보하는 등 꾸준히 공모사업을 추진하여 성과를 내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전북도, 김제 벼·논콩 피해 현장 방문… 신속한 복구 대책 추진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는 김제시 죽산면 일대에서 8월부터 10월까지 이어진 잦은 비로 벼와 논콩 재배 농가의 피해가 확산됨에 따라, 10월 26일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한 도의원과 관계 공무원들이 현장을 직접 방문해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신속한 복구 대책 마련에 나섰다고 밝혔다.이번 현장 방문은 김관영 전북특별도지사를 비롯한 도의원, 도·김제시청 관계자 및 농가들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벼 수발아 피해

울산동구자원봉사센터,‘영화로 힐링한 DAY2’

[뉴스스텝] (사)울산동구자원봉사센터(이사장 이순자)는 10월 25일(토) 오전 10시, HD아트센터 대공연장에서 울산 동구 자원봉사자를 위한 “영화로 힐링한 DAY2”를 실시했다. ◈ 본 행사는 올 한해에 다양한 분야에서 수고한 여러 자원봉사단체들 선정하여 감사의 마음과 쉼을 선물 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참여한 단체로는 환경정화 단체, 의용소방대, 적십자봉사회, 자율방범대, 푸드뱅크 지원(사랑의 빵

대전시의회 조원휘 의장 “대전의 역사와 예술, 춤으로 되살아나”

[뉴스스텝] 대전시의회 조원휘 의장은 26일 유림공원(유성구 봉명동)에서 열린 2025 대전십무 공연에 참석해 지역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 의지를 밝혔다.(사)정은혜민족무용단이 주관하는 2025 대전십무는 대전의 역사, 자연, 인물 등을 춤 예술로 형상화한 열 개의 작품으로, 2014년 홍동기의 음악과 정은혜의 안무로 완성돼 그동안 대전의 정체성과 정신을 형상화해 시민들에게 깊은 울림을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