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문화원, 국역 만재집(晩齋集) 발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1 13:40:55
  • -
  • +
  • 인쇄
만재 홍락섭 유고 문집, 시, 상량문, 묘갈문, 행장 등 2책 4권으로 구성된 문집
▲ 동해시청

[뉴스스텝] 동해문화원은 지난 15일 동해 송정 출신의 서예가이자, 우리 지역 최고의 유학자 만재 홍락섭의 유고 문집, '만재집'을 국역 발간했다고 밝혔다.

만재집은 만재 홍락섭의 학문과 사상을 살필 수 있는 귀한 고서임에도 불구, 모든 기록이 한자로 작업 된 관계로 일반인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이와 관련 문제점을 해소하고 범시민 지역학 관심도 제고와 고문서 가치발견을 위해 동해문화원은 '고서 및 고문서 국역 발간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었다.

1950년대 300여 명에 달하는 유림이 참여해 발간한 문집 '만재집'국역은 동해지역사록 제22집으로 번역은 권1시(時)·권2서(書)는 이장국 전 한중대학교 교수가, 권3의 기(記)·서(序), 권4는 시문(詩文)·제문(祭文)·상량문(上樑文)·묘표(墓表)·행장(行狀)과 부록은 강릉원주대학교 박도식 교수가 담당했다.

전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송수환 연구교수는 감수를 담당했다. 제1편 만재집 해제 및 역자 서언을 시작으로, 제4편의 만재집 유집 상, 하 원문 등 총 4편의 약 500쪽 분량이며 쉬운 말로 풀어서 쓰고자 했으나, 그러지 못한 경우는 원래의 글을 활용하고 주석을 통한 풀이나 해석으로 갈음했다.

홍락섭은 1874년 동해 송정에서 출생했고,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만재(晩齋)다. 그는 8세에 소학에 통달하고 12세에 한시를 지었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과 소남(少南) 이희수(李喜秀) 문하에서 수학했다.

까다로운 소남의 필법을 그대로 계승하여 조선시대 최고의 서예가로 평가받고 있다. 소남의 서맥을 이은 홍락섭은 제자 심지황, 최중희, 홍종범 등 당대 명필을 배출하여 영동지역 서예의 황금기를 이루었으며, 1918년 44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저술로는 『만재집』과 『강회계록(講會契錄)』이 전하고 있다.

오종식 동해문화원장은 “홍락섭과 동문수학하고 영친왕의 스승이기도 한 해강(海岡) 김규진(金圭鎭)은 그의 해서체를 두고 ‘4대문 안에서 내가 최고이고, 밖에서는 만재를 능가할 자가 없다.’라고 평했다. 또한, 1990년대 생존해 있던 제자와 후학들에 따르면 그의 해서체는 조선시대 최고의 서체로 인정받았다고 했다.

이번 만재집 국역을 통해 홍락섭의 학문과 사상은 물론 유학세계와 서단 계보 이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이천시, 이황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흉물 아파트’ 공사 재개를 위한 신호탄

[뉴스스텝] 이천시는 10월 31일, 지난 27년간 도심 속 흉물로 방치되어 온 이천시 장호원 이황리 아파트 공사 재개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변경 결정고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아울러 지난 7월 29일 이천시 건축심의 위원회에서 ‘장호원 이황리 아파트 주택사업 승인계획’이 통과되어 현재 공사 재개를 위한 행정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장기간 멈춰있던 사업이 재착공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이황리 아파트는 부

시흥도시공사, 찾아가는 공정무역 캠페인 진행

[뉴스스텝] 시흥도시공사는 지난 18일과 25일, 공정무역 포트나잇(10월 24일부터 약 2주간)을 맞아 시흥시 내 공정무역 가치 확산과 활성화를 위한 ‘찾아가는 공정무역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이번 캠페인은 시흥시 공정무역 사업 수행기관인 시흥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협약기관인 시흥공정무역협의회와의 협업으로 추진됐다. 시흥시 공정무역 활동가(페이메이커스 사회적협동조합 소속)의 진행으로 공사 공정무역 판

경기도의회 이서영 도의원, 14억8천만원 투입 '야탑중 챌린지홀' 완공 현장 방문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이서영 도의원(국민의힘, 비례)은 총 14억 8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리모델링 및 엘리베이터 설치가 완료된 ‘야탑중학교 챌린지홀’을 방문해 시설을 점검하고 학교 관계자들과 의견을 나눴다. 이번 사업은 김성수 교장과 학부모들의 민원이 계기가 된 대표적인 교육환경 개선 사업으로, 노후한 별관동을 학생 중심의 복합학습공간으로 새롭게 탈바꿈시킨 사례다. ‘챌린지홀’은 본관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