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기술연구원, 봄맞이 올바른 가로수 가지치기 방법 제안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3-15 13:40:22
  • -
  • +
  • 인쇄
전체 수목의 25% 이상 제거 금지, ‘강한’ 가지치기 금지하고 ‘약한’ 가지치기 방법 제안
▲ 서울시청 전경

[뉴스스텝] 서울기술연구원은 매년 봄마다 시행되는 가로수 가지치기로 인한 가로수의 건강성 회복을 위하여 ‘가로수 가지치기의 올바른 방법’을 제안했다.

서울기술연구원이 2022년에 서울시 12개 자치구 60개 도로의 양버즘나무의 가지치기 현황과 관리 형태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일부 구간에서는 안전을 위한 나무 높이 조절 등으로 여전히 두절형 가지치기, 즉 나무의 머리를 잘라내는 형태가 시행되고 있었다.

‘두절형 가지치기’와 같은 ‘강한’ 가지치기는 수목의 형태를 파괴하고, 잎의 성장을 늦춰 광합성을 저해시켜 양분의 축적을 감소시킨다. 국제수목학회(ISA)에서도 두절을 잘못된 방식으로 규정하고 있다. 두절로 인해 나무의 탄소흡수 기능이 감소하고, 굵은 가지를 잘라낸 부위에 일어난 부패가 수목 전체에 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무 건강에도 악영향을 주어 서서히 죽어갈 뿐만 아니라, 죽은 나무가 쓰러져 인명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울기술연구원은 가로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한 올바른 ‘가로수 가지치기 방법’으로 ①나무 크기의 25% 이상은 절대 제거하지 말아야 하며, ②‘두절의 방법’은 금지하고, ③배전선 가로수에는 ‘수관 축소’ 방법과, ➃가지치기로 활력을 잃은 가로수에는 ‘두절 회복’의 방법을 시행할 것을 제안했다.

‘수관 축소’ 방법은 배전선에 접해 있는 가로수에 적용할 수 있고, ‘두절 회복’의 경우 두절 등 잘못된 가지치기로 가로수의 활력도가 낮아진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맹아지(萌芽枝)는 주가 될 가지(주지(主枝)) 하나만 제외하고 나머지는 절단할 것을 제안했다.

임성은 서울기술연구원장은 “지금까지 잘못된 가지치기로 많은 가로수의 활력이 저하된 상태이므로 올바른 가지치기를 꾸준히 시행해야 할 것”이라며 “서울시 가로수의 건강성을 회복해 수목이 주는 아름다움과 녹음을 서울시민에게 돌려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