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 '서울에 온 고대소녀, 송현이' 전시 개막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2-05 13:20:47
  • -
  • +
  • 인쇄
고대에 살았던 사람은 어떤 모습일까?
▲ 송현동 15호분에서 송현이 인골 출토 상황

[뉴스스텝]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은 2024년 상반기 테마전으로 고대人(인)의 탐구 시리즈의 첫 번째 전시인 '서울에 온 고대 소녀, 송현이'를 2월 6일 ~ 3월 3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는 2008년 창녕 ‘송현동 가야 고분’을 조사하면서 발굴된 가야 소녀 인골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송현이’라는 고대인의 삶과 모습을 조명하는 전시다.

‘송현이’는 5~6세기 창녕 지역에 살았던 16세 소녀로, 송현동 고분군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애칭이다. 이번 테마전시에서는 고분에서 출토된 송현이의 유골 뿐만 아니라 복원모형을 통해 좀 더 생생한 고대 소녀의 모습을 직접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의 협력하에 송현이의 오른쪽 귀에서 수습한 귀걸이, 복원된 송현이 모형과 인골 원본과 모형을 서울에서는 처음으로 소개한다.

전시는 ▴1부 '프롤로그' ▴2부 '송현동 고분에서 발견된 송현이' ▴3부 송현이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 ▴4부 '송현동 고분군과 비화가야' ▴5부 '에필로그' 순서로 구성했다.

‘인골 복원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모형과 패널, 영상 자료를 통해 쉽게 전달하고자 한다. 꽃다운 나이에 무덤에 묻힌 이유와 뼈에 남아 있는 흔적들이 말해주는 송현이의 삶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김지연 한성백제박물관장은 “고대인의 인골에 대한 연구는 고대인의 삶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와 이야기를 다채롭게 전달해준다는 측면에서 많은 관심이 필요한 연구 분야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전시를 통해 1,500년 전 창녕에서 살았던 고대소녀 ‘송현이’를 만나, 고대인의 삶은 어떤 모습이었는지 유추해보는 흥미로운 기회를 가지시길 바라며, 천오백년 전의 ‘송현이’의 사연을 알고 싶은 분은 꼭 방문해서 관람하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충남도, 중 광둥성 대표단 첨단 산업 현장 방문

[뉴스스텝] 충남도는 26일 예산 스플라스 리솜에서 열린 ‘2025 베이밸리 국제심포지엄 및 제10회 환황해 포럼’에 참석한 중국 광둥성 대표단이 도내 첨단 산업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환황해 포럼은 환황해권 국가·지역 간 협력과 공동 번영을 논의하는 국제 회의로, 10회를 맞은 올해에는 베이밸리 국제심포지엄과 함께 개최했다.이날 주융후이 광둥성 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을 비롯한 광둥성 대표단은 포럼 참석 이

충남도, “해미읍성, 전 세계적인 명소로 만든다”

[뉴스스텝] 충남도의 대표적인 역사·문화 축제 ‘서산 해미읍성 축제’가 막을 올렸다.김태흠 지사는 26일 해미읍성 일원에서 열린 ‘제22회 서산 해미읍성 축제’ 개막식에 참석해 방문객을 환영하고 축제 개최를 축하했다.해미읍성 축제는 600여 년 역사를 간직한 해미읍성을 배경으로 전통문화와 현대적 감각을 결합해 선보이는 도 대표 가을 축제다.올해는 ‘고성방가(古城放佳)’를 주제로 다양한 공연과 체험, 전시가

‘제2회 음성명작 요리경연대회’ 개최...지역농산물 우수성 널리 알려

[뉴스스텝] 음성군은 26일 금왕읍 금빛근린공원 주무대에서 명작페스티벌과 연계한 ‘제2회 음성군 명작요리경연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대회는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지정공모 사업(출연기업: 한국동서발전㈜)에 선정돼 ‘명작의 음성이 들려’라는 주제로 열렸다.음성군 농산물을 활용한 다채로운 레시피를 발굴하고 보급함으로써 지역농산물 브랜드 ‘음성명작’의 가치를 높이고, 우리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