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운 사기' 이연X유희제X홍승범, 천우희와 함께 사기극을 펼쳐나갈 크루들로 활약 예고!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5-09 13:20:28
  • -
  • +
  • 인쇄
[뉴스스텝] 공감불능 사기꾼 천우희의 곁에 비밀 동료들이 함께 한다.

오는 5월 29일 월요일 저녁 8시 50분에 첫 방송될 tvN 새 월화드라마 ‘이로운 사기(극본 한우주/ 연출 이수현/ 제작 스튜디오드래곤)’에서 장학재단 ‘적목’이 키우는 영재 집단인 ‘적목키드’ 멤버들 이연(정다정 역), 유희제(나사 역), 홍승범(링고 역)의 존재를 공개해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 있는 것.

▲ [사진 제공: tvN]

‘이로운 사기’는 공감 불능 사기꾼과 과공감 변호사, 너무나 다른 두 사람의 절대 악을 향한 복수극이자 짜릿한 공조 사기극 드라마. 이런 가운데 이연, 유희제, 홍승범은 극 중 이로움(천우희 분)을 도와 복수를 위한 대사기극을 펼칠 동료들로 활약할 예정이다.

먼저 이연이 맡은 정다정 역은 20년 차 해커로, 이로움의 출소부터 복수까지 모든 계획을 돕는 인물이다. 손님이 없는 만화방을 운영하는 것 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비밀 작업 공간에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얻고 있다. 아직 그녀가 뚫지 못한 방화벽은 없다는 후문.

유희제가 연기할 만능 엔지니어 나사 캐릭터도 주목할 인물이다. 나사(유희제 분) 역시 어릴 적 이로움과 함께 적목키드로 자란 동료로 이로움의 말 한마디면 군말 없이 따르고 있다. 현재는 녹슨 나사처럼 알코올과 도박에 찌들어 사는 인생. 그런 그가 이로움이 계획한 원대한 복수이자 사기 행각에 동참할 결심을 하며 다시 나사를 바짝 조이고 나선다.

마지막으로 멀티 심부름꾼 링고(홍승범 분)가 팀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10개 국어에 능통한 언어적 재능의 소유자 링고는 다양한 국적과 인종으로 구성된 심부름꾼들을 수하로 두고 있다. 쉽게 정을 주고 진심을 쏟는 성격으로 이로움에게 과거에 진 빚이 있어 은혜를 갚는 마음으로 그녀의 손을 잡는다.

이렇듯 베테랑 해커 정다정과 기계 공학의 능통자 나사, 언어 천재 링고는 이로움과 하나의 팀을 이뤄 복수를 위한 사기를 해낼 예정이다. 한때 적목 재단의 후원으로 키워진 이들이 대체 무엇을 향해 복수의 화살을 조준하고 있는 것인지, 또 영재 집단 출신들이 모여 어떤 비범한 사기극을 벌일 것인지 계획이 점점 더 궁금해지는 상황.

천우희와 함께 기막힌 사기극에 승선할 적목키드 이연, 유희제, 홍승범의 활약은 오는 5월 29일 월요일 저녁 8시 50분 tvN 새 월화드라마 ‘이로운 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활성화 요구 “홍보·체험 확대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는 12윌 오전 10시,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평택항만공사와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산림환경연구소를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이날 감사는 경기평택항만공사의 경영평가 및 인력운영,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등 공사 추진 사업 전반과 산림재해예방,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등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주요 업무를 중심으

경기도의회 정하용 의원, “경상원 성과평가 하락·직장내 괴롭힘·정산 부실” 강력 비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12일에 열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대상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각 기관의 부실한 사업관리에 대해서 강도 높게 지적했다.정하용 의원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2025년(2024년 실적) 경영평가에서 전년도 ‘다’등급에서 ‘라’등급으로 하락했고, 조직운영, 재무관리, 환경, 안전 등 주요지표가 모두

경기도의회 이오수 의원, “덩굴류 확산 방치 안돼...생태계 보호 위한 통합 대응 시급”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2일 열린 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행정사무감사에서, 생태계 교란종인 칡, 가시박, 환삼덩굴 등 덩굴류 확산에 대한 시급성을 지적하며, 도 차원의 표준화된 대응 전략 마련과 실효성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이 의원은 “덩굴류는 도로변, 생활권 산림, 농경지까지 침투해 생태계 교란과 경관 훼손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현재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