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양산 내원사 조계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 등 4건 도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2-29 13:15:08
  • -
  • +
  • 인쇄
17세기 불상조각의 뛰어난 명장, 현진스님의 작품 등
▲ 경남도, ‘양산 내원사 조계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 등 4건 도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뉴스스텝] 경상남도는 29일'양산 내원사 조계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과'김해 해성사 묘법연화경 권4∼7','김해 해성사 불설십이마하반야바라밀다경'3건을 도 유형문화재로 지정하고,'진주 최대성 정려 현판 일괄'을 문화재자료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양산 내원사 조계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은 1628년(인조 6년) 현진(玄眞)이 주도하고 7명의 조각승이 참여해 완성한 불상으로 단단한 체형과 알맞은 균형미, 넓적한 얼굴에 평면적인 이목구비, 부드러운 인상, 숄형의 천의를 입은 착의법, 간결하고도 입체적인 옷주름 등이 주된 특징이다.

이 불상은 현진이 제작한 불상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조성연대, 봉안처 등이 정확하여 조선후기 불교조각의 조각승과 계보, 양식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기준작이며 17세기의 뛰어난 명장 ‘현진’의 조각적 특성도 잘 보여주고 있어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있다.

'김해 해성사 묘법연화경 권4〜7'은 1399년 남재(南在, 1351∼1419)가 쓴 발문을 붙여 간행한 것으로 작은 글자로 정교하게 새긴 목판본이다. 이 발문에 의하면 도인 해린(海隣)이 송나라 계환(戒環)의 주해본을 입수한 뒤 정천익(鄭天益), 이양(李穰) 등 여러 관리와 군인 그리고 백성들의 시주와 도움을 받아 1년간 작업하여 간행한 것이다.

'묘법연화경' 권4∼7은 비록 낙질이나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흔하지 않은 1399년 남재 발문과 간행 서지 정보 등이 남아 있어 조선 초기 '묘법연화경' 판본의 이해, 단월(檀越) 등 불교사 및 서지학 연구에 도움이 되는 귀중한 자료이다.

'김해 해성사 불설십이마하반야바라밀다경(합부)'는 총 6개의 경전을 모아1467년 간행된 경전으로 『불설십이마하반야바라밀다경』2장,『불설고왕관세음경(佛說高王觀世音經)』5장,『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옥추보경(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玉樞寶經)』15장,『불설북두칠성연명경(佛說北斗七星延命經) 5장, 삼십분공덕소경(三十分功德疏經)』8장,『불설연수신왕호신경(佛說延壽神王護身經)』2장, 허적(許迪)이 쓴 발문 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 초기에 간행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장수와 연명(延命)을 기원하기 위하여 편찬한 것으로 이 경전을 늘 지니고 독송(讀誦)하면 재난을 피할 수 있다는 기원을 담고 있으며 고려와 조선시대 불교 경전의 초록과 편찬, 간행과 유통을 이해할 수 있는 희귀한 판본이다.

문화재자료로 지정된'진주 최대성 정려 현판 일괄'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전라남도 보성 출신의 무신인 ‘최대성(崔大晟, 1553~1598)’의 정려각에 걸려있는 현판이다.

최대성은 훈련원정(訓鍊院正)으로 이순신 장군을 따라 남해의 여러 전투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나 1598년 보성의 안치전투에서 전사했으며 사후 156년만인 1752년(영조 28년)에 정려가 내려져 전라남도 보성에 정려각이 세워졌다.

이후 1890년(고종 27년)에 진주의 현재위치로 이건 됐으며 정려각 내에 1752년 내려진 정려 현판 1매, 최대성의 가계, 임란시기 전공, 정려가 내려지는 과정 등이 기록된 정려기 현판 1매, 1890년 후손들이 중심이 되어 보성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게 된 경위가 기록된 정려이건기 현판 1매 그리고 1917년 정려각의 보수공사 내용을 기록한 중수모와기 현판 1매로 총 4매가 보존되고 있어 정려가 세워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과정이 기록된 현판이 모두 보존되어 있어 자료적 가치가 크다.

이정곤 경상남도 문화체육국장은 “이번에 도 문화재로 지정된'양산 내원사 조계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등 4건에 대해 해당 시군,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 협조해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적극적으로 우수한 문화유산을 발굴해서 모든 도민이 문화유산을 향유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북대모빌리티혁신센터’개소, 모빌리티 산업 이끌 연구·기업지원 거점

[뉴스스텝] 달성군은 현풍·유가읍 첨단산업단지(대구 테크노폴리스) 내 경북대학교 달성캠퍼스에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할 경북대 모빌리티기술혁신센터가 지난 24일 공식 개소했다고 밝혔다. 이번 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대구광역시, 달성군 등 산학연 협력을 바탕으로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 ‘서비스 맞춤 모빌리티 산업혁신 생태계 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설립이 추진됐다. 2023년부터

달성군, 산업안전보건 우수기업 인증서 수여식 개최

[뉴스스텝] 대구 달성군이 안전한 일터 조성에 모범적인 우수 기업을 선정해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등 산업재해 예방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달성군은 대구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지난 26일 ‘2025년 달성군 산업안전보건 우수기업 인증서 및 현판 수여식’을 개최하고, 안전한 일터 만들기에 솔선수범한 관내 4개 기업에 인증서와 현판을 전달했다. 올해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곳은 ㈜대지메카트로닉스, 미래첨단소재(주),

천안시, 도심 속 세계인의 댄스 퍼레이드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

[뉴스스텝] 세계인의 춤 축제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의 거리퍼레이드가 26일 천안 도심에서 열렸다.천안흥타령춤축제의 대표 프로그램인 거리퍼레이드는 오후 7시부터 방죽안오거리~신세계백화점 천안아산점 일대 550m 구간 9차선 도로에서 펼쳐졌다.퍼레이드는 김석필 천안시장 권한대행 부시장의 개막선언과 각국 대표단이 참여한 터치버튼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막이 올랐다.해외 22개국을 비롯한 국내외 37개 팀 2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