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서울특별시교육감 선발 후기고등학교 신입생 배정 결과 발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2-01 13:10:12
  • -
  • +
  • 인쇄
교육감 선발 후기고 209교, 53,761명 배정
▲ 서울시교육청

[뉴스스텝] 서울특별시교육청은 2월 2일 오전 10시에 ‘2023학년도 교육감 선발 후기고 신입생 배정 결과’를 발표한다.

2023학년도 서울 지역 교육감 선발 후기고에 입학 예정인 학생은 209개교에 총 53,761명(남학생 27,236명, 여학생 26,525명)으로
△일반대상자 52,854명 (일반학급 51,594명, 중점학급 1,260명)△체육특기자 676명 △정원 내 특례 5명 △정원 외 226명 (보훈자자녀, 지체부자유자, 특례입학 적격자)이다.

2023학년도 교육감 선발 후기고 지원자 61,676명 중에서 교육감 선발 후기고 불합격자(76명), 자사고 등 중복지원자 중 합격자(7,651명), 예술·체육 중점학급 합격자(170명), 전기고 합격자(18명) 등 총 7,915명을 제외한 53,761명을 배정했다.

2023학년도 배정 대상자는 지난해보다 4,663명(9.5%)이 증가했는데, 이는 황금돼지해라고 알려진 2007년 출산율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것과 함께 2023학년도 특성화고 및 자사고 선발인원 감소로 교육감 선발 후기고 지원자가 늘어난 영향으로 파악된다.

지난해보다 배정 대상자는 증가한 반면, 교육부의 교원 정원 감배정에 따라 후기고 신입생 학급수는 지난해에 비해 5학급 증가하는 데 그쳐, 평균 학급당 학생수는 24.6명에서 26.9명으로 지난해보다 2.3명 증가했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은 타 학교군 거주 학생이 중부 학교군(종로구, 중구, 용산구) 내 학교를 희망한 경우 희망대로 우선 배정하고자 노력했고,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선택권을 최대한 존중하면서 지역·학교 간 학생 수 격차를 줄이고 원거리 통학을 최소화하여 배정했다고 밝혔다.

2023학년도 서울특별시교육감 선발 후기고 배정학교 발표는 2월 2일 10시부터이며, 배정 결과를 학생과 학부모에게 휴대전화 메시지로 안내할 예정이다.

신입생은 원서 접수처인 출신 중학교 또는 관할 교육지원청에서 배정통지서를 배부받아야 하며, 2월 2일부터 2월 3일까지 배정받은 고등학교에 입학 등록을 해야 한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학생·학부모의 학교 선택권을 존중하면서 교육감 선발 후기고가 학교 간 격차 완화를 이룰 수 있도록 균형 배정 원칙을 지켜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원주시, 다음 달 중순부터 남원주역세권 임시 공영주차장 무료 개방

[뉴스스텝] 원주시는 KTX 원주역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주차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남원주역세권 임시 공영주차장’을 다음 달 중순부터 무료로 개방한다.그동안 KTX 원주역 주변은 주차 공간이 부족해 불법 주정차가 만연했고 이용객들의 불편도 컸지만, 이번 대규모 무료 주차장 개방으로 이러한 문제가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주차장은 남원주역세권 내 유휴 부지 7필지를 활용해 조성됐으며, 축구장 약 3

김영환 지사, 의료비후불제 신청가정 위로‧격려

[뉴스스텝] 충청북도가 경제적 부담으로 제때 치료를 받기 어려운 도민을 돕기 위해 추진 중인 의료비후불제가 다자녀가정의 자녀 치료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김영환 지사는 28일 청주 마이크로병원을 방문해 최근 수술을 마친 아동과 보호자를 만나 위로와 격려의 뜻을 전했다. 해당 가정은 아이가 놀이 중 다쳐 코뼈가 골절돼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었으나 높은 병원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이를 SNS에 호

홍성군, 환경부 장관상 ‘발전상’ 수상

[뉴스스텝] 홍성군은 지난 27일 개최한 ‘2025 하수도 연찬회’ 시상식에서 환경부장관상(발전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이번 평가는 환경부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최근 3년간의 공공하수도 운영‧관리 실태를 하수도 정책 추진 시설 운영 실적 및 주민 체감도 등 다각도로 심사해 우수기관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특히 홍성군 수도사업소는 그룹별 1차 실태점검에서 3년 연속 평가점수가 상승했으며, 최근 5년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