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노작예술프로젝트‘어린이목수축제’참가자 50명 모집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1 12:55:39
  • -
  • +
  • 인쇄
나만의 공간을 만들 어린이 목수를 찾아요!
▲ 2025 어린이 목수축제 포스터

[뉴스스텝] 어린이들이 목수가 되어서 가장 안전하고 환성적인 공간을 만들기 위한 ‘큐브_나만의 공간 만들기’ 어린이목수축제가 열린다.

광주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어린이들이 목수가 되어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는 노작 예술 교육 프로젝트 『2025 어린이목수축제 — 큐브_나만의 공간 만들기』를 오는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서창 영산강자전거길 안내센터 잔디밭 일대에서 개최한다.

본 행사는 광주광역시 주관, 광주문화재단 주최, 광주광역시 서구청 협력으로 운영된다.

광주문화재단은 이번 축제에서 어린이들이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상상력과 협업의 가치를 체화하고 창의적 경험을 넓힐 수 있도록 기획했다.

올해 주제인 ‘큐브’는 목재를 단순한 판재가 아닌 모듈로 인식하여, 어린이들이 직접 설계한 집·성·환상 공간 등 다양한 구조물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과거와 달리 예술가의 사전 스케치 없이 참가 어린이들이 제출한 스케치를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전워크숍은 9월 27일 오전 10시에 동일 장소에서 진행되며, 설계도 완성, 조형물 시뮬레이션, 안전교육, 못질·톱질 등 기본 목공기술 교육이 진행된다.

본 행사는 3일간의 제작 과정으로 구성되며, ▲10월 16일 참가 등록 및 모둠별 제작 ▲10월 17일 외부 구조물 제작 ▲10월 18일 내부 마감 및 완성 작업, 부모 초청 네트워크 파티 순으로 진행된다.

운영진은 박성완 총감독을 중심으로 노여운, 박기태, 백상옥, 오성현 예술가가 모둠별 활동을 이끌며, 윤문석, 전민준, 임은혜, 문창환 작가가 작품 완성도를 지원한다.

참가 대상은 광주지역 초등학교 4~6학년 어린이 40명(선착순)과 어린이목수 경험이 있는 중학생 선배목수 10명(선착순)으로 구성된다.

어린이 참가자는 신규 신청자를 우선 선발하며, 반드시 제작을 원하는 작품의 스케치를 제출해야 한다.

완성된 작품은 서창 억새축제 기간까지 전시되어 시민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어린이는 광주문화재단 및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2025년 9월 11일까지 온라인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문의는 담당자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강화군, 생활 공구 무료 대여 서비스 제공

[뉴스스텝] 강화군이 군민들의 주거 편의 증진을 위해 강화군 행복센터 3층에 위치한 마을 주택 관리소에서 생활 공구 무료 대여 서비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이 서비스는 전동드릴, 그라인더, 절단기, 타카 등 생활에 꼭 필요한 공구를 최대 3일간 무료로 대여할 수 있는 것으로, 강화군민이라면 신분증만 지참하면 누구나 대여할 수 있다.마을 주택 관리소는 주민들이 자주 필요하지만, 개별 구매에 부담을 느낄 수 있

인천광역시 중구의회,‘2025년 신흥시장 가을맞이 한마당 축제’ 참석

[뉴스스텝] 인천광역시 중구의회는 9월 5일, 신흥시장에서 열린 '2025년 신흥시장 가을맞이 한마당 축제'에 참석해 전통시장 활성화와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이번 축제는 신흥시장 상인들과 여러 주민이 함께한 가운데 열렸다. 행사에서는 길놀이 공연을 시작으로 개회식, 축사, 떡메치기 등 다채로운 공식행사와 함께 지역 주민들을 위한 축하공연이 이어졌다. 또한 전통놀이

대구서부교육지원청,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해소 가족캠프 성료

[뉴스스텝] 대구서부교육지원청은 9월 6일부터 7일까지 1박 2일간 가야산생태탐방원에서 북구 지역 10가정 38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해소 가족캠프’를 운영했다고 밝혔다.이번 캠프는 서부교육지원청 지역공동사업의 하나로 북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 주관하고 가야산생태탐방원이 후원했으며, 학생들의 건전한 디지털 사용 습관 형성과 가족 간 소통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주요 프로그램으로 부모·자녀 소통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