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역문제해결플랫폼으로 지역문제 해결에 나선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8-17 12:35:10
  • -
  • +
  • 인쇄
8.18 15:00 춘천사회혁신센터에서 ‘2022년 강원지역문제해결플랫폼’ 의제실행 협약식 개최
▲ 강원도, 지역문제해결플랫폼으로 지역문제 해결에 나선다

[뉴스스텝] 강원도는 민간, 공공기관과 함께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강원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을 통해 10개 의제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문제해결에 나선다고 밝혔다.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기존 관 주도 하의 예산 투입 위주의 지역문제 해결방식에서 탈피하여, 주민이 직접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지역 내 시민단체·공공기관·정부·지자체 등이 협업체계를 구성하여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민·관·공 협업형 지역문제 해결 방식이다.

동 제도는 지난 ‘18년 행정안전부가 강원도에 최초 도입, 5년차 운영 중이며 현재는 광역지자체 13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강원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2021년까지 77개 실행의제를 추진하였고, 37개 기관단체가 ‘협업 추진위원회’를 구성, 지역 문제 해결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올해는 ‘추진위원회’ 집중워크숍을 통해 10개 의제 사업이 선정되었고, 실행팀 구성 및 자원을 연계하여 8월부터 10월까지 실행할 예정이다.

추진하는 의제를 살펴보면, 생활 밀착형 내용이 많았으며, 기존에 참여하지 않았던 신규 지역(양구, 홍천, 영월, 정선) 의제 및 외국인 문제, 지역 농산물(아스파라거스) 등 다양한 의제들이 선정되었다.

버려지는 아스파라거스 밑동의 가공 상품화(양구), 농촌마을에 적합한 쓰레기 배출 시스템 개발(홍천), 외국인 약국 이용 어려움 해결(원주) 등 올해 선정된 10개 의제 사업은 관련 기관과 주민 간 협업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의제실행협약식은 8. 18 15시 춘천사회혁신센터에 열리며, 오늘 행사에는 실행의제 사업을 추진하는 주민, 공공기관, 지자체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행사 내용으로는 주민-공공기관 간 의제 실행 협약 및 선정된 의제 내용 공유회가 이뤄진다.

전길탁 경제진흥국장은 본 사업은 주민·지자체·공공기관 등 다양한 참여 주체가 협업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해당 지역 주민이 체감 가능한 반가운 변화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