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배우의 사생활] 오윤아&이수경, “언니, 충분히 예뻐”...예지원 첫 데이트에 혼신의 지원 사격!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0 12:20:44
  • -
  • +
  • 인쇄
▲ 사진=TV CHOSUN 제공

[뉴스스텝] TV CHOSUN이 선보이는 신규 예능, 여배우들의 아주 사적인 연애 스토리 '공개연애-여배우의 사생활'에서 예지원의 잃어버린 연애 세포를 소생시키기 위해 동생들 오윤아&이수경이 나선다.

오늘(20일) 밤 10시 첫 방송되는 '여배우의 사생활'에서는 연애 앞에 작아지는 예지원의 모습이 공개된다.

예지원은 “마지막 연애가 한 10년 전?”이라며 기억도 가물가물한 듯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제 나이대에 이렇게 싱글로 있을 줄은 몰랐다. 연애 세포가 죽은 건 아닌데…무슨 얘기를 하지? 연애가 뭔지 잘 모르겠다”며 연애가 너무 어렵다고 고백했다.

오윤아와 이수경이 각자의 ‘상대男’과 데이트를 하는 모습을 보고도, 예지원은 “난 잘래. 너희 보니까 난 안 해도 될 것 같아”라며 지레 포기했다.

오윤아는 “언니 만나러 갈 때 내가 옷 (예쁘게) 해줄게”라며 스타일리스트를 자처했다. 스타일리스트 오윤아는 “긴 치마 그거…”라며 의상 후보를 읊었지만, 예지원은 외마디 비명만을 남기고는 고개를 푹 숙였다.

남자 출연자와의 만남이 다가오자 동생들은 예지원의 메이크오버를 위해 거울 앞에 앉혔다. 그래도 예지원은 “나를 어떻게 해야 되나”라며 한숨을 푹푹 내쉬었다.

자신감이 밑바닥을 친 예지원을 위해 오윤아는 “괜찮아. 언니는 얼굴도 조그맣고, 사람들이 언니 다 매력 있어 한다니까!”라며 긴장을 풀어줬고, 이수경도 “충분히 예뻐”라며 응원했다.

오윤아가 화장을 해주는 동안 이수경은 “언니, 서로 소개하고 묻는 말에만 잠깐 대답하면 좋을 것 같아”라며 연애 코칭까지 놓치지 않았다.

그래도 예지원은 점점 울음을 터뜨릴 듯한 표정이 됐고, 고개도 점점 아래로 떨어졌다. 이수경은 “언니 자꾸 작아지는 것 같아. 사람이...”라며 예지원을 안타까워했다.

첫 데이트 룩을 고르는 동안에도 오윤아와 이수경은 “이건 안돼. 너무 나이 들어 보여. 이거 입어”, “너무 더워”, “안돼. 쪄 죽어” 등의 잔소리를 폭발시켰다.

동생들 오윤아&이수경의 밀착 케어 속에 대망의 데이트에 나선 ‘맏언니’ 예지원의 연애 세포가 과연 살아날지는, 오늘(20일) 밤 10시 첫 방송되는 여배우들의 아주 사적인 연애 스토리 TV CHOSUN '공개연애-여배우의 사생활'에서 만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속초시, 고위직이 먼저 바꾼다! 성평등 조직문화 확산 앞장

[뉴스스텝] 속초시는 11월 10일 시청 신관 대회의실에서 이병선 시장을 비롯한 5급 이상 고위직 공무원 44명을 대상으로 ‘4대 폭력 예방 및 도란도란 토론으로 키우는 성인지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등 4대 폭력 예방을 위한 법정 의무교육으로, 단순한 강의식이 아닌 토론과 참여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속초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공직사회의 성인지 감수

이천시 관고동,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 운영

[뉴스스텝] 이천시 관고동 주민자치회는 전국민 인공지능(AI)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직원, 학습센터 강사, 주민자치위원 등 14명을 대상으로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을 11월부터 매주 토요일 총 4회 운영한다고 밝혔다.관고동 주민자치학습센터는 지난 8월 행안부에서 발표한 전국민 인공지능(AI) 전사화 초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내년도 전국민 인공지능(AI) 교육 전면 시행에 앞서 인공지능(A

경상남도의회, 직업교육 취업률 급락·이주배경학생 지원확대… “학생 중심 정책 전환” 촉구

[뉴스스텝] 경상남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이찬호)는 제428회 경상남도의회 정례회 기간 중 4일차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밀양교육지원청, 창원교육지원청, 창원도서관, 교육정보원을 대상으로 교육행정의 현안과 정책 추진 실태를 점검했다. 이날 감사에서는 직업교육 취업률 하락, 체육행정의 편중 운영, 이주배경학생 지원 미비, 과밀학급, 미래학교공간재구조화 사업, 교원 성희롱 재발 방지 등 교육현장의 주요 문제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