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프랑스 최고 예술기관과 문화교류 확대한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4 12:00:39
  • -
  • +
  • 인쇄
23일 프랑스 한림원 찾아 양 기관 문화교류 확대 및 예술 아카데미 프로그램 유치 등 논의
▲ 오영훈 지사와 로랑 쁘띠지라르 프랑스 한림원 사무총장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는 23일(현지시간) 프랑스 최고 권위의 예술기관인 프랑스 예술한림원(아카데미 데 보자르, Academie des Beaux-Arts)과 문화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의는 예술 교류 플랫폼으로서 제주도의 위상을 높이고, 국제 문화외교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

1803년 나폴레옹에 의해 설립된 프랑스 예술한림원은 회화, 조각, 건축, 음악, 영화 등 5대 예술 분야를 총괄하는 프랑스 최고의 예술기관으로, 프랑스 예술계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예술한림원이 주관하는 예술 아카데미 프로그램은 세계적으로도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이번 실무협의에는 지베르니 모네 정원 관장이자 예술 아카데미 위원이면서 프랑스 건축계의 거장인 알랭 샤를 빼로(Alain-Charles Perrot)도 함께 자리했다. 그는 프랑스 문화유산 보호와 예술교육에 깊이 관여해 온 인물로서 이번 협의에 더욱 상징성과 깊이를 더했다.

실무협의에서는 △제주-프랑스 간 예술 교류 프로그램 추진 △프랑스 한림원의 예술 아카데미 프로그램의 제주 유치 △아시아 예술인 참여를 통한 국제 네트워크 확대 등 다양한 문화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로랑 쁘띠지라르(Laurent PETITGIRARD) 프랑스 한림원 사무총장은 “제주는 풍부한 자연과 문화 자산을 지닌 매우 매력적인 지역”이라며 “예술 교류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바쁜 일정에도 프랑스 예술 아카데미를 찾아준 오영훈 지사와 제주도 방문단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의가 이어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프랑스 한림원의 국제 예술 역량과 제주도의 자연·문화 인프라가 결합된다면, 제주가 아시아 예술 교류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제주도는 제도적·행정적 차원에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의를 계기로 제주와 프랑스 간 예술·문화 분야 협력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프랑스 예술 아카데미 프로그램의 제주 유치를 통해 국내외 예술 인재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한-불 문화외교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대구시의회 박종필 의원,'대구아리랑 보전 및 진흥 조례안'대표 발의

[뉴스스텝] 대구시의회 박종필 의원(비례대표)이 9월 5일, 제319회 임시회에서 대표 발의한 '대구아리랑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안'이 문화복지위원회 심사를 통과해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대구아리랑’은 대구 지역의 생활상과 정서를 담고 있는 향토 민요로, 팔공산, 금호강 등의 묘사나 지역 사투리 등 대구의 지역적 특색을 담은 가사가 특징이다.박 의원은 “대구 지역 고유의 향토 민요인

강북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 대상 체험 프로그램 운영

[뉴스스텝] 울산 강북교육지원청은 6일 울산교육연구정보원과 울산과학관에서 강북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과 지도력(리더십) 함양 프로그램을 운영했다.이번 프로그램에는 초등 135명, 중등 91명 총 226명이 참여했으며, ‘배움의 지도(리더), 나눔의 지도(리더)'를 주제로 7개 체험 활동과 특강이 진행됐다.학생들은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 디지털 그리기(드로잉)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에 직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대구광역시 지하안전위원회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대표 발의

[뉴스스텝]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비례대표)이 9월 5일, 제319회 임시회에서 대표 발의한 「대구광역시 지하안전위원회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이 기획행정위원회 안건 심사를 통과해 9월 12일, 제3차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육 의원은 “최근 지역 내 잇따라 발생한 지반 침하 사고는 도심지 지하 개발의 급증과 노후 지하 시설물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중대한 현안으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