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진주대첩 역사공원’ 내 공원지원시설 명칭 공모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3 12:00:52
  • -
  • +
  • 인쇄
의병·호국정신 주제로 알기 쉽고 부르기 쉬운 명칭 공모, 9월 9일까지 접수
▲ 진주대첩 역사공원 조성 현장(24.7월)

[뉴스스텝] 진주시는 2007년 기본계획 수립 후 17년 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갈 ‘진주대첩 역사공원’내 공원지원시설에 대해 이달 26일부터 내달 9일까지 명칭 공모전을 실시한다.

이달 말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진주대첩 역사공원은 총사업비 940억 원을 들여 대지면적 1만 9870㎡에 연면적 7081㎡ 규모로 지하 1층과 지상층으로 조성됐으며, 지하 1층은 149면의 주차장, 지상은 공원지원시설과 역사공원으로 구성됐다.

공원지원시설은 전체 공원면적의 5%로 진주 관광종합안내소, 진주성 매표소, 공원 관리 운영을 위한 사무실, 카페·하모 굿즈샵 등으로 사용된다.

지붕은 PC스탠드를 이용하여 평소에는 시민의 편안한 휴식 공간으로, 공연이 있을 시는 400명에서 600명이 앉아 공연을 볼 수 있는 관람석으로 사용되도록 꾸며진다.

진주시는 진주대첩 역사공원 조성 사업이 장기간에 걸쳐 어렵게 추진된 만큼 장소의 중요성과 의미에 걸맞은 공원지원시설의 이름을 공모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진주대첩 역사공원 내 공원지원시설 명칭 공모전’의 주제는 1592년(임진년) 10월 진주대첩 1차 전투 시 백성이 의병이 되어 관군과 합심하여 진주성을 지킨 의병·호국정신이다.

의병·호국정신은 평등 ․ 나눔 ․ 인본정신을 근간으로 하는 진주정신으로 계승되어 걸인․기생독립단 만세운동(1919년), 소년운동(1920년), 형평운동(1923년), 진주 K-기업가정신(제2의 진주기적)으로 발현됨에 따라 나라를 지키고자 분연히 일어섰던 백성들의 모습을 형상화한 건축작품인 공원지원시설의 주제와 맞아떨어진다.

이번 명칭 공모전에는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진주시청 홈페이지에서 ‘명칭 공모 신청서 및 개인 정보이용동의서’를 다운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제출기한은 9월 9일 오후 6시까지이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진주시 홈페이지 또는 공공시설추진단으로 문의하면 된다.

공모 작품은 실무부서 검토를 거쳐서 전문가 위원회와 시민소통위원회 심사를 통해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할 계획이며, 결과 발표는 개별통보 또는 시 홈페이지 새소식란에 게시할 예정이다.

진주시 관계자는 “과거의 문화유산을 계승하여 현재와 공존하면서 다음 세대를 준비하는 공간인 진주대첩 역사공원의 공원지원시설 명칭 공모에 시민들의 기발하면서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기다린다”며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과기정통부, 최고 수준 소프트웨어 역량의 실시간 승부! '제25회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뉴스스텝]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하는 '제25회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가 지난 11월 22일 부산광역시 벡스코에서 개최됐다. 2001년에 시작되어 올해 25회째를 맞는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는 대학생들이 소프트웨어 기반 문제해결 및 알고리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대회이다. 올해 예선 대회에는 50개 대학 29

제1회 경남도지사배 전국 낚시대회 개최!

[뉴스스텝] 경상남도는 23일 거제시 지세포항을 기점으로 장승포항, 지심도, 해금강 인근 해상에서 경남도 지원·한국낚시어선협회 경남지부 주관 ‘제1회 경남도지사배 전국 낚시대회’를 개최했다.‘경남도 2030 낚시산업 활성화·어선안전 방안’의 일환으로 안전한 낚시 문화 확산을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 전국 낚시인 400여 명과 낚시어선 20여 척이 참가했다. 참자가들은 지정된 해역에서 낚아 올린 문어의 총합

경남도, 도-시군 청년네트워크, 함양 청년마을 현장견학

[뉴스스텝] 경상남도는 도-시군 청년네트워크 회원 60여 명이 지난 22일 함양 청년마을을 견학하고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참가자들은 함양군에 위치한 청년마을 ‘고마워, 할매’ 조성 배경과 운영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마을 내 체험·공유 공간, 주거 시설 등을 직접 둘러보며 청년들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모습을 살펴봤다.함양 청년마을 ‘고마워, 할매’는 시골에서 할머니가 차려준 밥상을 먹으며 휴식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