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청, ‘전남교육이 걸어온 길 학부모 역할’ 조명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8 11:20:39
  • -
  • +
  • 인쇄
“자녀를 위한 끝없는 엄마의 발걸음, 전남교육에 닿다”
▲ ‘전남교육이 걸어온 길에 우리 엄마가 있었네’전시회 포스터

[뉴스스텝] 전라남도교육청이 전남교육 역사에서 학부모의 역할을 조명하는 전시를 마련해 눈길을 끈다.

오는 6월 23일부터 7월 4일까지 2주간 청사 1층 로비와 갤러리 이음에서 열리는‘전남교육이 걸어온 길에 우리 엄마가 있었네’라는 제목의 전시회가 그것이다.

이번 전시회는 전남교육이 걸어온 길에 함께한‘부모님’을 조명하며, 감사함을 전달하기 위해 기획됐다.

평범한 ‘우리엄마’가 전남교육 전시회의 주인공이 되고, 고생한 ‘우리아빠’는 전남교육 역사의 주인공이 된다.

한 아이의 힘겨운 마음을 보듬어 주셨던 ‘선생님’과 ‘마을주민’에게 감사함을 전달하며 이것 역시도 전남교육 역사임을 말한다.

전시회는 특히, 전남의 특별한 환경인‘섬’에 초점을 맞췄다. 전남은 본섬, 부속 섬, 그 부속 섬의 작은 섬에도 학교가 있다.

그 섬을 지키며 자녀를 키워오신 섬 부모님의 인생 이야기가 펼쳐진다.

바닷일을 마친 늦은 밤 호롱불 아래 육지로 떠난 자식에게 편지로 마음을 전한 수영이 아버지 故 문채옥님, 물속에서 숨을 참으며 전복을 따서 자녀를 키워낸 대길이 어머니 김진섭님 등의 이야기에서 순탄하지 않았던 전남교육의 역사가 읽힌다.

또, 섬마을 분교를 지키고 있는 현우 아버지 김양운님, 자신을 키워준 마을과 학교로 교사가 되어 다시 그 섬에 돌아온 최신웅님 아들 최선님의 이야기는 등대처럼 자녀를 지키는 부모님의 마음이 느껴진다.

학교 가는 길에 함께한 부모님의 인생도 이번 전시에 담겼다.

3만 4천리 바닷길을 나룻배 노를 저어 딸 숙현이를 학교에 보낸 어머니 故 박승이님, 썰물 때만 바다에서 육지가 되는 노둣길을 건너 학교 가는 자녀를 위해 갯벌 길을 시멘트길로 만든 아버지 조범석님, 매일 아침 학교 앞 안전을 지키는 녹색어머니회를 통해 한결같이 전남 학생들을 지켜주신 마음을 표현했다.

이번 전시회는‘전남교육 역사’가 학교를 둘러싼 환경과 사람까지 모두 포괄하며 평범한 일상을 기록하고 남기겠다는 의지를 표현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선국 총무과장은 “평범함이 특별함이 되고. 일상의 기억이 전남교육 역사가 되는 우리의 이야기를 담았다”며, “6월 마지막 주 전남교육청 전시회를 시작해 7월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 8월 신안군청 순회 전시까지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김홍규 강릉시장, 가을철 산불예방 및 동절기 제설대응 총력 대응 당부

[뉴스스텝] 강릉시는 11일 시청 15층 회의실에서 2025년 가을철 산불예방 및 동절기 제설대책 읍면동장 회의를 열고 대응 현황을 집중 점검한다. 회의에서는 가을철 산불예방과 동절기 도로제설을 위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과 읍면동별 대응 상황 점검 및 읍면동장 의견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김홍규 시장은 가을철 산불예방을 위해 각 읍면동별 산불방지 인력 출동태세 확립 영농부산물 등 산림인접지 인화물질 사

의령군의회, 지역 설화 관광자원화 연구

[뉴스스텝] 의령군의회는 지난 11일 의원연구단체 문화관광연구회(대표의원 황성철) ‘지역 설화 관광자원화 연구’ 최종보고회를 열고, 지역 고유 설화를 관광으로 살리는 실행전략을 제안했다.이번 연구용역에서는 의령의 설화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하고 기존 축제·명소와 연계해 체험형 관광으로 전환하자는 큰 방향을 도출해 냈다. 또한, 자연·휴식 선호 흐름과 디지털 체험 수요를 아우르는 콘텐츠 설계 원칙으로, 지역의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 2025년 행정사무감사 실시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위원장 임승식)는 11일 군산의료원, 남원의료원, 전북사회서비스원을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하고 공공의료 신뢰 회복과 사회서비스 균형발전을 위한 개선을 주문했다.임승식 위원장(정읍1)은 남원의료원의 응급실 환자 입원율 저조 문제를 지적하며 “응급환자의 35%가 타 병원으로 전원되고 있다”며 “지역 내에서 치료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 시스템을 강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