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연안 자생식물, 머리카락 건강 지켜주는 신소재로 가능성 확인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7 10:25:31
  • -
  • +
  • 인쇄
섬·연안 자생식물 ‘가는갯능쟁이’, 탈모 억제 효능 입증
▲ 가는갯능쟁이

[뉴스스텝] 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관장 박진영)과 전남바이오진흥원 (원장 윤호열)은 목포 고하도에서 채집한 섬·연안 자생식물 ‘가는갯능쟁이(Atriplex gmelinii C. A. Mey. ex Bong.)에서 모발 건강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가는갯능쟁이는 바닷가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염생식물로, 최근에는 대기 중 탄소를 저장하는 블루카본 자원으로 주목받아 기후변화 대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인 가는갯능쟁이 추출물이 모발 세포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했다.

실험 결과, 가는갯능쟁이 추출물(50~200 μg/mL)은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최대 118.2%까지 증가시키고, 탈모 유발 호르몬(DHT)에 의해 손상된 세포 생존율을 최대 97.5%까지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용 탈모 치료제인 미녹시딜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이번 성과는 “가는갯능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건강 개선용 조성물” 이라는 제목으로 특허(제10-2854466호)로 2025년 8월 29일 최종 등록됐다.

이 성과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직접 조사·발굴·확보한 자원을 기반으로 전남바이오진흥원과 공동으로 개발한 결과이다. 단순한 기능성 성분 확인을 넘어, 섬·연안 자원이 지닌 독자적 가치를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또한, 이번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을 확인했으며, 현재 여러 기업이 기술이전에 관심을 보이며 협의가 진행 중이다. 앞으로 두 기관은 대량 재배 조건 확립 등 후속 공동연구를 확대해 산업화 단계까지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김보람 천연소재연구부 전임연구원은 “섬과 연안에서 자라는 식물은 그 환경 속에서 특별한 생리적 적응 능력을 발휘하며 기능성 소재로의 잠재력을 지닌다”라면서, “이번 성과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조사·발굴한 자원을 바탕으로 전남바이오진흥원과 협력해 얻은 대표적인 사례다. 앞으로도 섬·연안 지역 자원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산업적 가치로 연결해 국가 생물주권 확립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속초문화관광재단, 속초 음식문화 기반 디자인 프로젝트 추진

[뉴스스텝] 속초문화관광재단은 ‘맛으로 엮어가는 도시의 멋, 음식문화도시 속초’를 비전으로, 음식문화 대표 콘텐츠 개발사업의 일환인 디자인 역량 캠프 ‘속초 맛-멋 디자인 학교(이하 디자인학교)’ 참여자를 모집한다.‘속초를 닮은 디자인 사업’은 음식문화도시 속초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젝트로, 총 5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돼 추진된다. 이 중 디자인학교는 속초의

소담스퀘어 강원, 제2회 라이브커머스 경진대회 개최

[뉴스스텝] '소담스퀘어 강원'은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지역 특화사업의 일환으로 도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제2회 라이브커머스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대회는 11월 5일 소담스퀘어 3층 글로벌스튜디오에서 열리며, 도내 소상공인 12개 팀이 참가해 열띤 경연을 펼칠 예정이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상공인이 직접 쇼호스트가 되어 자사 제품을 소개하고 판매함으로써 제품 신뢰도를 높이고, 소비자와의 실

영월군 상동경로대학 어르신들, 하이힐링원에서 만들기 체험

[뉴스스텝] 상동경로대학은 11월 4일, 어르신 60명과 공군부대, 자원봉사자 10명이 참여한 가운데 ‘하이힐링원에서 만들기 체험’을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원목도마 만들기”와 “치아바타 만들기”라는 특별한 체험 활동을 통해 단순히 전통적인 교육을 넘어서, 어르신들이 손수 만든 원목도마와 빵을 통해 삶의 즐거움과 의미를 되찾는 시간을 제공했다. 어르신들과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만드는 시간을 통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