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군, 농․특산물 소포장재 제작 지원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1-22 10:25:35
  • -
  • +
  • 인쇄
농산물 소포장재 제작비용의 50%범위내 지원
▲ 양양군, 농․특산물 소포장재 제작 지원

[뉴스스텝] 양양군이 지역 농․특산물 생산 농가·법인을 대상으로 1월 31일까지 ‘2024년 농․특산물 소포장재 제작 지원 사업’ 접수를 받는다.

군은 지역 농특산물 판매확대와 양양군 브랜드 홍보를 통한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고맙다 양양’이라는 양양군 도시 브랜드를 이용하여 소비자 기호에 맞는 포장재를 제작 지원한다.

올해는 2억원의 사업비로, 1,100여 농가에 박스 등 농특산물 소포장재 약600,000개에 대한 구입비 50%를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 품목은 감·복숭아·배·옥수수·감자·느타리·표고 등 군을 대표하는 품목이며, 소포장재로 통합박스 3종(5kg, 10kg, 20kg), 감 박스 2종(10kg, 15kg), 과수류박스(복숭아, 배 등), 산채박스 및 농특산물 겉포장재, 스티로폼 박스 등이 지원된다.

지원대상자는 양양군에 주소를 두고 거주하는 농업인으로, 우선 지원대상자는 ▲영농조합법인 ▲품목별(특화작목) 연구회 ▲양양몰 입점 농가 ▲신규 신청 조직 등이다. 단, 단순 유통업체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농산물 통합박스 및 감박스 지원은 마을별 이장을 통해 배부받은 신청서를 제출하면 각 이장들이 읍·면사무소로 신청서를 제출하게 되며, 그 외 농산물 포장재 지원은 신청내역 견적서를 준비하여 군 농업기술센터 농정축산과 농산물유통팀을 방문하여 신청하면 된다.

군은 서류심사와 현지확인을 통해 오는 3월 초까지 지원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며, 3월부터 11월까지 소포장재 제작·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군은 양양을 대표하는 이미지와 색감, 네이밍, 포장 재질 등을 통일하여 소비자가 보았을 때 신선하고 건강한 양양의 이미지를 알릴 수 있도록, 소포장재 지원 사업을 지속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포장재를 지원함으로써, 양양 브랜드 홍보와 지역 농·특산물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군은 2억 4,957만 원의 사업비로, 1,100여 농가에 감자, 배, 표고, 산채 등 주요 농특산물에 대한 소포장재 약 615,300개를 지원하여 농가의 생산경비 부담을 완화하고 농특산물 인지도 향상에 기여한 바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옥천군실업 소프트테니스팀,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소프트테니스 단체전 금메달

[뉴스스텝] 옥천군 실업 소프트테니스팀(감독 주정홍)이 제63회 대통령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제61회 국무총리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각각 ‘단체전’ 우승을 차지하며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특히 이번 전국체육대회(2025.10.17.~ 10. 23.7일간) 우승은 치열한 접전 끝에 거둔 값진 성과로, 꾸준한 훈련과 팀워크, 그리고 주정홍 감독의 지도력이 빛난

인천시,‘국화 향기 원예프로그램’수강생 작품전시회 개최

[뉴스스텝] 인천광역시 계양공원사업소는 10월 20일부터 10월 27일까지 미추홀구 수인선 바람길 숲 일대에서 ‘국화 향기 원예프로그램’ 수강생 작품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전시회는 ‘국화 향기 원예프로그램’의 교육성과를 시민과 함께 나누기 위한 자리로,수강생들이 직접 재배하고 가꾼 입국 12 간작, 3 간작, 1 간작 중 12 간작 20점을 선별해 선보인다.‘국화 향기 원예프로그램’은 계양공원사업

삼척시 '2025년 제20회 두타산 등산대회' 성료

[뉴스스텝] 2025년 10월 19일, 삼척시 하장면 댓재공원 일원에서 열린 '2025년 제20회 두타산 등산대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올해로 20회를 맞이한 이번 대회는 산악팀과 일반팀 총 101팀 331명이 참가해 깊어가는 가을 정취 속에서 두타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며 건강한 산행을 즐겼다.이번 대회는 산지정화 및 안전산행 홍보 캠페인, 산불방지 캠페인 등 다양한 부대 프로그램을 통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