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혼령, 조선 혼인 금지령' 상상력 자극하는 3인 포스터 공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11-14 10:25:18
  • -
  • +
  • 인쇄
박주현-김영대-김우석, 비주얼·케미·개성 다 잡았다!
▲ 사진 제공: MBC 새 금토드라마 '금혼령, 조선 혼인 금지령'

[뉴스스텝] 톡톡 튀는 ‘금혼령, 조선 혼인 금지령’의 주연 배우 3인방(박주현, 김영대, 김우석)의 포스터가 공개됐다.

MBC 새 금토드라마 ‘금혼령, 조선 혼인 금지령’(연출 박상우, 정훈/ 극본 천지혜/ 제작 본팩토리, 이하 ‘금혼령’) 측은 14일(오늘) 호기심을 자극하는 3인 포스터를 공개, 세 남녀가 그릴 궁중 스토리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오는 12월 9일(금) 첫 방송 예정인 ‘금혼령’은 동명의 웹 소설이 원작으로, 7년 전 세자빈을 잃고 실의에 빠져 혼인 금지 명령을 내린 왕 이헌(김영대 분) 앞에 죽은 세자빈으로 빙의가 가능하다는 혼인 사기꾼 소랑(박주현 분)이 나타나 벌이는 센세이셔널 궁궐 사기극이다.

공개된 포스터 속 소랑의 사랑스러움이 묻어나는 환한 미소는 이헌, 이신원(김우석 분)의 표정과 대비되며 눈길을 끈다.

소랑의 한 손은 붓을 높게 들어 이헌을 향해 있고, 나머지 한 손은 이신원에게 묶여 있어 흥미로운 상상력 또한 유발시키고 있다.

이헌은 냉담한 표정과 함께 소랑의 손을 쳐내는 듯 한 제스처를, 이신원은 옅은 미소와 함께 소랑의 손목을 꽉 붙잡고 있어 소랑을 대하는 두 사람의 태도에도 이목이 쏠린다.

각자의 캐릭터를 드러내는 카피도 눈길을 사로잡는다. 소랑의 ‘내가 왜 사기꾼이야? 청춘남녀들을 위한 사랑의 전령이지’라는 문구는 언제 어디서나 당당하고 자신감 넘치는 그녀의 성격을 그대로 드러낸다.

‘7년 금혼령을 내린 왕. 너도 내가 광인에 폭군으로 보이느냐’라고 하는 이헌의 문구는 왕의 위엄과 함께 군주로서의 강렬한 존재감이 엿보인다.

마지막으로 이신원의 ‘수사관이 되고 싶었어. 그럼 잃어버린 신부를 찾을 수 있을까 해서’라는 문구는 그가 펼칠 짝사랑 스토리를 기대하게 만든다.

포스터 뒷배경에 자리하고 있는 ‘모설단’ 덕훈(이정현 분), 왕배(김민석 분), 정도석(홍시영 분)의 모습도 눈에 띈다.

세 사람은 각자 다양한 포즈를 취하고 있어 이들의 등장이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을지 궁금해지는 가운데 ‘조선혼인금지령’이란 문구 옆에 ‘사랑 애(愛)’ 도장이 찍힌 아이러니함도 이채롭다.

MBC 새 금토드라마 ‘금혼령, 조선 혼인 금지령’은 '팬레터를 보내주세요' 후속으로 오는 12월 9일 오후 9시 50분에 첫 방송 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함께 만드는 따뜻한 세상, 복지로 희망을~! 부산 중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

[뉴스스텝] 부산 중구는 지난 7일 중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민간위원장 김병현) 위원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역량강화 워크숍을 개최했다.이번 워크숍에는 구 대표협의체, 실무협위체 및 실무분과 위원들과 9개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들이 참여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방안 강의를 통해 위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함께하는 복지공동체로 더욱 성장하기 위한 소통과 화합의 시간을 가졌다.김병현 중구지역사회보장협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중구지회 역사탐방 및 추계수련대회 개최

[뉴스스텝]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중구지회(회장 정정석)는 지난 9일 회원 120여 명이 참석해 올바른 역사관 정립과 자유민주주의 가치 확산을 위해 ‘역사탐방 및 추계수련대회’를 경남 거창군에서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경남 거창군에 소재한 거창사건추모공원을 찾아 민간인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참혹했던 역사적 비극을 되새기며 자유와 인권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어 회원들은 거창 출렁다리

안양시, ‘2025 가족센터 사업보고회 및 한국어교육 수료식’ 성료

[뉴스스텝] 안양시는 지난 7일 안양시 가족센터 3층에서 ‘2025년 가족센터 사업보고회 및 한국어 교육 수료식’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10일 밝혔다.안양시 가족센터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다문화가족, 한국어교육 참여자, 자원봉사자, 유관기관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한 해 동안 추진했던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활동을 격려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또 지난 3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한국어교육 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