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가리왕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1-03 10:10:22
  • -
  • +
  • 인쇄
▲ 정선군청

[뉴스스텝] 산과 산에 빨랫줄을 걸어도 될 만큼 사방이 산첩첩인 정선에서도 가리왕산(1,561m)은 각별하다.

정선군에서는 함백산(1,573m) 다음으로 높은 산이기도 하지만 정선의 진산을 이루는 비봉산과 동강의 비경을 품고 있는 백운산 지역이 가리왕산 자락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정선의 서쪽 지역을 거느리고 있는 가리왕산은 남녘의 지리산처럼 품이 넓으며, 예나 지금이나 정선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가리왕산은 정상부인 상봉(1,561m)을 비롯하여 중봉(1,433m), 하봉(1,381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서쪽에 백석산(白石山 1,365m), 서쪽에 중왕산(1,376m), 남서쪽에 청옥산(靑玉山 1,256m) 등의 작은 산들을 자식처럼 거느리고 있다.

야생동물의 천국이기도 했던 가리왕산은 조선조에 세운 산삼봉표비가 있을 정도로 산삼과 약초류가 풍부했다. 각종 초본류의 꽃이 많으니 벌 나비가 날아들었고, 벌은 인간에게 유익한 꿀을 남겨주었다. 1970~1980년대까지만 해도 가리왕산은 심마니나 들락거릴 정도로 원시의 산 그대로였고, 토종꿀의 주산지였다.

한국 최고의 자연 원시림이자, 국가적 보존체인 가리왕산에는 현재 희귀식물 1백여 종, 멸종위기 포유류 4종과 희귀조류 10여 종을 포함한 야생동물 수십 종이 서식한다.

또한 분비나무, 신갈나무, 팥배나무, 주목 등 수백 년 묵은 아름드리 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으며, 그 숲은 정선의 허파이자 자연이 준 보물이다.

가리왕산 케이블카 운영으로 어린이나 유아를 동반한 보호자, 노인, 장애인 등 교통약자들을 비롯한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어떠한 제약 없이 단 20분이면 가리왕산 하봉 정상(1,381m)까지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가, 원시림에 가까운 생태자원을 체험하고 볼 수 있게 됐다.

우리 선조들은 그곳을 벽파령이라고 불렀다. 푸를 벽자를 써서 산맥들이 겹겹이 둘러싸여 마치 푸른 파도가 치는 것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하여 벽파령이라고 부를 정도로 경관이 뛰어나다.

밤에는 주변에 빛 공해가 전혀 없기 때문에 쏟아지는 별들과 은하수를 육안으로 조망할 수 있으며, 눈내린 겨울에는 아름다운 상고대 모습도 볼 수 있다.

가리왕산의 일출, 일몰, 운해도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장관이다. 계절에 따라, 날씨에 따라, 조망하는 시간에 따라 웅장한 가리왕산의 감동적인 풍광들을 감상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충남도, “수도권 기업 모시자” 서울서 ‘충남 세일즈’

[뉴스스텝] 국내외 기업 투자 유치 40조 원 돌파를 넘보고 있는 민선8기 힘쎈충남이 수도권 기업 확대 유치를 위해 ‘현장 영업 활동’에 나섰다.이 자리에는 120여 개 기업이 참여, 1개 기업과 500억 원대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5개 기업으로부터 640억 원 규모의 투자 의향을 받아내며 미래 가능성을 확인했다.도는 3일 서울 국민일보 빌딩에서 수도권 및 앵커 기업 유치를 위한 합동설명회를 개최했다.민선

충주시보건소, 봉방동 ‘우리동네 치매검진날’ 운영

[뉴스스텝] 충주시보건소 치매안심센터는 11월 3일부터 17일까지 방장골 경로당을 시작으로 봉방동 치매안심마을 11개 경로당을 순회하며 ‘우리동네 찾아가는 치매검진날’을 운영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보건소 방문이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현장 중심의 치매조기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마련됐다.특히 검진부터 진단, 사례관리까지 한 번에 연계되는 원스톱 치매관리체계를 강화해, 조기 발견과 적기 치료를 도모할 계획이

인천보훈지청 제대군인지원센터, “강화군 채용박람회 연계 제대군인 순회상담”실시

[뉴스스텝] 국가보훈부 인천보훈지청 제대군인지원센터는 2025. 10. 30. 인천시 강화군 강화문예회관에서 진행된 강화군 채용박람회와 연계하여 국군장병 및 제대(예정)군인을 대상으로 취업지원과 전직지원사업 안내를 위한 순회상담을 실시했다.‘찾아가는 제대군인 순회상담’은 국가보훈부 제대군인지원센터가 각 군부대 및 원거리에 거주하는 제대(예정)군인들을 대상으로 국가보훈제도 및 제대군인 전직지원제도를 소개하고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