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항 국제항로 및 지역 활성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12-28 10:15:38
  • -
  • +
  • 인쇄
27일 ㈜씨케이팬아시아와 업무협약식 개최
▲ 동해항 국제항로 및 지역 활성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뉴스스텝] (재)북방물류산업진흥원은 동해항 국제항로 및 지역 활성화를 위해 국제물류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 동해항 중심의 물류산업 활성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지난 27일 북방물류산업진흥원 회의실에서 국제물류기업인 ㈜씨케이팬아시아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업무협약식에서는

기존 동해항의 한ž러ž일 국제항로 활성화는 물론 신규항로 유치와 수출입 화물 다양화, 소량화물 적극적 유치 등을 목적으로 하며, 이와 연계한 물류 관련 기업 유치, 인적네트워크 구축 및 정보협력 등을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씨케이팬아시아는 인천항과 부산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국제물류주선업체로 콘솔화물(하나의 컨테이너에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혼재해서 싣는 방식) 분야에서 국내 정상급 업체로 평가받고 있으며, KOTRA가 주관하는 수출 바우처사업의 국제운송분야 수행기관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물류기업이다.

동사는 지난 1998년 창업 이래 카페리선을 이용한 물류서비스 분야에서 오랜 기간 업력을 다져왔으며, 현재 190여개국을 대상으로 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 중으로 현대글로비스, TDK, 한국OGK 등 글로벌 기업의 물류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인해 한러 직항 항공운행에 차질이 생기고 대형 선사들의 기항 회피에 따라 동해-블라디보스토크 구간의 카페리 항로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올 들어 동해항을 통한 러시아 수출은 호조세를 지속, 11월까지 차량 4,764대, 중장비 1,146대, 컨테이너 500TEU 등의 실적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92%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인한 러시아 내 중고차 특수 덕분에 동해ž묵호항을 통한 자동차 수출은 급증하고 있는데 반해 컨테이너 수출은 크게 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러시아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화물 역시 거의 없다시피 해 장기적인 항로 안정성을 해치고 있다는 평가다.

북방물류산업진흥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씨케이팬아시아의 다년간의 경험 및 물류망을 살린다면 동해항으로 콘솔화물을 적극적으로 유치, 컨테이너 물동량의 확대를 기대하는 것은 물론 러시아에서 한국 및 아시아로 들여오는 화물 유치 역시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호영 북방물류산업진흥원 원장은 “동해항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물류기업의 유치가 중요하다”면서 “이번 협약을 통해 동해항이 러시아와 일본뿐 아니라, 세계 각지와 연결되는 글로벌 포트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인천시,‘서구에 말라리아 경보’발령, 강화군 이어 올해 두 번째

[뉴스스텝] 인천광역시는 지난 7월 16일 강화군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9월 12일 서구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하고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말라리아 경보는 전국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 이후 첫 군집사례가 발생하거나 동일 시군구에서 매개모기 일 평균 개체수가 2주 연속 5.0 이상일 때 내려진다.이번 경보는 전국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 이후 서구에서 첫 군집사례가 발생함에 따른 조치이다.군집사례는 말라리아 위

창원특례시, 봉암교 교각 중대 균열 긴급 복구 현장 점검

[뉴스스텝] 장금용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12일 봉암교 교각(P11) 중대 균열 긴급 복구공사 현장을 방문해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봉암교는 창원국가산업단지와 수출자유무역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교량으로 1982년도에 개통됐으며, 하루 6만여 대의 차량이 통행하고 있다. 시는 2년 주기로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점검에서 교각(P11) 기둥에서 중대 균열이 발견돼 긴급 복구 공사를 완료했다. 이번

안동시의회 우창하 의원, 경북 특별자치도 전환 필요성 강력 촉구

[뉴스스텝] 안동시의회 우창하 의원(서후·북후·송하)이 12일 열린 제260회 안동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북의 미래와 생존을 위한 특별자치도 전환 필요성을 강하게 촉구했다.우창하 의원은 발언에서 경상북도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문제를 지적하며, “도내 22개 시·군 중 19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됐고, 안동 역시 인구감소지역에 포함됐다”라면서 현행 행정통합 논의만으로는 지역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