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운수업체와 상생협약...마을버스 운수종사자 1인당 32만 원 지원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8-08 10:10:37
  • -
  • +
  • 인쇄
서울시 지원계획에 따라 성동구 조례 빠른 개정으로 8월부터 운수업체 7곳 지원 확대
▲ 성동구는 지난 3일 마을버스 운수업체와 적자업체 재정지원 확대를 내용으로 하는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정원오 성동구청장(사진 가운데)과 운수업체 관계자들이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뉴스스텝] 서울 성동구는 지난 3일 마을버스 운수업체와 적자업체 재정지원 확대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장기간의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마을버스 업체들의 심화된 인력난과 경영난을 해소하고, 마을버스 감축 운영에 따른 구민들의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성동구는 이달 3일 구민의 발이 되는 마을버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마을버스 운수업체 7곳과 상생 협약식을 개최했다. 마을버스 업체의 안정적 경영 환경조성으로 구민의 교통편의를 증진하고자 하는 상호협력의 장을 마련한 것이다.

지난 4월 발표한 서울시의 마을버스 적자업체 재정지원 확대 계획에 따라 운수업체 재정지원을 위해 성동구는 발 빠르게 구 조례를 개정했다. 이번 조례 개정으로 그간 서울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던 2011년에서 2020년 2월 사이 증차된 마을버스 11대를 포함하여, 마을버스 운수업체 7곳의 총 57대 차량이 8월부터 서울시의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그동안 낮은 연봉과 열악한 근무 여건에 따라 많은 마을버스 운전기사가 이동 노동(플랫폼 노동)이나 배달업체 등으로 이탈하고 있다. 코로나 전인 2019년 12월 성동구 전체 마을버스 기사가 136명인 것에 반해 2023년 7월 기준 104명으로 23.5%가 감소한 것이다. 또 운수업체의 재정난이 가속화됨에 따라 배차간격이 늘어나고, 운전기사 이탈에 따른 불친절 등으로 구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기도 했다.

우리 사회에서 꼭 필요한 필수노동자인 마을버스 운수종사자의 임금은 여전히 최저시급(시간당 9,620원) 수준이다. 성동구는 마을버스 업체의 안정적 고용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서울시 자치구 중 최초로 운수종사자 임금을 시간당 11,157원인 2023년 성동구 생활임금 수준으로 보전하여 8월부터 1인당 월 321,230원을 추가 지급한다.

이에 앞서 성동구는 2020년에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을버스 재정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여 이듬해인 2021년부터 서울시 지원을 받지 못하는 차량에 대해 재정지원을 해왔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재택근무 활성화 등 생활방식에 많은 변화로 마을버스 승객이 크게 줄어 업체의 재정난은 물론 구민들이 불편을 호소했다”라며 ”이번 재정지원을 계기로 구민의 발인 마을버스가 정상화되어 구민들께서 마음 편히 이동할 수 있는 교통 여건이 조성됐으면 한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구미시지역사회보장 대표협의체 회의 개최…민·관 협력 강화

[뉴스스텝] 구미시는 지난 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구미시 지역사회보장 대표협의체 회의’를 열고 지역 복지정책의 추진 방향과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대표협의체 위원 25명이 참석해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주요 현안을 심의했다.이번 회의는 △신규 및 재위촉 위원에 대한 위촉장 수여 △2년간 협의체를 이끌어갈 민간위원장 선출 △복지분야 주요성과 및 향후 추진계획 보고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2026년 연

광주광역시민·농민 1000여명, 농업인의날 한마당

[뉴스스텝] 광주광역시는 ‘농업인의 날’(11월11일)을 맞아 9일 시청 야외음악당에서 농업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제30회 농업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농업에서 미래를! 농민에게 희망을!’을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는 광주시가 주최하고 농업인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농업인·시민 1000여 명이 참석해 화합의 장을 이뤘다.행사는 풍물놀이·난타 공연과 농업 유공자 표창 수여, 농업인

울진군 ‘2025 죽변항 수산물축제’ 성황리 폐막

[뉴스스텝] 동해안의 어업전진기지 울진군 죽변항이 수산물과 공동체 그리고 문화가 어우러진 특별한 축제로 환하게 빛났다. 지난 11월 7일부터 3일간 열린‘2025 죽변항 수산물축제’현장에는 약 6만 명의 방문객이 몰려들며 항구 전체가 유례없는 활기로 가득 찼다. 올해 축제는‘가자, 죽변항! 먹자, 수산물!’이라는 슬로건 아래 신선한 제철 수산물이 현장에서 즉석으로 경매로 거래되고, 맨손 활어잡기·물회 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