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서구, 무연고 사망자 합동위령제 봉행 찾아가는 국가무형유산 ‘진도씻김굿’ 공연 대성황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6-07 10:10:18
  • -
  • +
  • 인쇄
▲ 무연고 사망자 합동위령제

[뉴스스텝] 부산 서구가 5일 오후 4시 송도오션파크에서 개최한 무연고 사망자 합동위령제가 주민, 관광객 등 1,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종료됐다.

이날 합동위령제에서는 (사)국가무형유산 진도씻김굿보존회가 국가유산청의 후원을 받아 마련한 ‘찾아가는 국가무형유산 진도씻김굿 공연’이 진행됐는데 수준 높은 국가무형유산이자 부산에서는 쉽게 접할 수 없는 ‘씻김굿’ 공연이라는 점 때문인지 중·장년층은 물론이고 부모의 손을 잡고 온 아이들, 외국인들도 눈에 띄었다.

행사는 구민의 안녕과 구정의 발전을 염원하는 의미로 강인하고 역동적인 ‘진도북춤’으로 시작했는데 강은영 명인 등 11명이 강렬한 북장단과 섬세한 춤사위로 송도오션파크를 들썩이게 했다.

이어 진행된 합동위령제는 서구가 가족해체 등으로 홀로 쓸쓸히 생을 마감한 관내 무연고 사망자들을 위해 2021년부터 공영장례를 시행하면서 이들이 보다 많은 구민들의 위로 속에서 ‘마지막 길’을 떠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으로, 애절한 대금 선율 속에서 무연고 사망자 39위(位)의 이름이 한 명 한 명 호명됐으며 참석자들은 숙연한 분위기 속에서 이들의 평안한 영면을 기원했다.

합동위령제와 함께 남도의 대표적인 국가무형유산인 ‘진도씻김굿’ 공연이 진행됐는데 공연의 전반부인 초가망석과 제석굿에는 산 사람의 만복을 빌고, 후반부인 고풀이, 씻김, 길닦음에는 고인의 극락왕생을 기원했다. 특히 이날 ‘고풀이’가 시작된 뒤에는 마치 오늘 이 행사를 축원하는 듯 제단 맞은편 하늘에 쌍무지개가 뜨는 신비로운 풍경이 펼쳐져서 참석자들의 탄성을 자아내기도 했다.

영도구에서 왔다는 한 관객은 “언젠가 영화에서 사람이 죽어 저승에 갔을 때 누군가가 기억해주면 저세상에서 없어지지 않는데, 기억해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으면 저세상에서도 소멸된다는 말을 들었다. 무연고자를 위로해 준다는 그런 뜻만으로도 참 좋고 귀한 행사인 것 같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공한수 구청장은 “구청장으로서 소외계층의 ‘마지막 길’까지 따뜻하게 끌어안는 게 진정한 복지행정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하면서 “원도심 초고령 사회인 우리 서구에서 가족들이 시신조차 인도해가지 않는 모습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다. 우리 젊은이들이 합동위령제를 통해 ‘효’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는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속초시, 고위직이 먼저 바꾼다! 성평등 조직문화 확산 앞장

[뉴스스텝] 속초시는 11월 10일 시청 신관 대회의실에서 이병선 시장을 비롯한 5급 이상 고위직 공무원 44명을 대상으로 ‘4대 폭력 예방 및 도란도란 토론으로 키우는 성인지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등 4대 폭력 예방을 위한 법정 의무교육으로, 단순한 강의식이 아닌 토론과 참여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속초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공직사회의 성인지 감수

이천시 관고동,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 운영

[뉴스스텝] 이천시 관고동 주민자치회는 전국민 인공지능(AI)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직원, 학습센터 강사, 주민자치위원 등 14명을 대상으로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을 11월부터 매주 토요일 총 4회 운영한다고 밝혔다.관고동 주민자치학습센터는 지난 8월 행안부에서 발표한 전국민 인공지능(AI) 전사화 초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내년도 전국민 인공지능(AI) 교육 전면 시행에 앞서 인공지능(A

경상남도의회, 직업교육 취업률 급락·이주배경학생 지원확대… “학생 중심 정책 전환” 촉구

[뉴스스텝] 경상남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이찬호)는 제428회 경상남도의회 정례회 기간 중 4일차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밀양교육지원청, 창원교육지원청, 창원도서관, 교육정보원을 대상으로 교육행정의 현안과 정책 추진 실태를 점검했다. 이날 감사에서는 직업교육 취업률 하락, 체육행정의 편중 운영, 이주배경학생 지원 미비, 과밀학급, 미래학교공간재구조화 사업, 교원 성희롱 재발 방지 등 교육현장의 주요 문제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