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 진영역철도박물관 ‘진영의 역사 인물’ 특별전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30 09:20:15
  • -
  • +
  • 인쇄
11월 한달 겨레의 상록수 강성갑 특별전
▲ 김해시 진영역철도박물관 ‘진영의 역사 인물’ 특별전 개최

[뉴스스텝] 김해시는 오는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간 진영역철도박물관에서 ‘진영의 역사 인물’ 특별전을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특별전은 진영의 다양한 역사 인물 중 행동하는 교육자로 알려진 겨레의 상록수 강성갑(1912~1950) 선생의 서거 75주기에 맞춰 선생의 생애와 활동상을 알리고, 선생과 관련된 장소들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개최된다.

전시에서는 해방 이후 지역의 교육 선각자로서 활약하기까지 선생의 모습을 담은 다양한 사진과 영상 자료를 비롯해 선생이 세웠던 복음중학교의 학생회 명부, 선생의 손글씨와 1954년 함태영 부통령이 참석하기도 했던 선생의 동상 제막 당시 현판 등이 전시된다.

특히 작은 전시 공간에도 불구하고 선생의 살아생전 모습을 AI로 제작해 관람객에게 인사를 건네는 동영상을 선보이는 등 부족한 공간을 최신 기술과 영상으로 채워 볼거리를 제공한다.

강성갑 선생은 1912년 경남 의령에서 태어나 1931년 당시 장유금융조합에 서기로 취업한 것을 시작으로 김해와 인연을 맺고 1946년에는 진영교회 담임목사로 부임, 같은 해 복음중등공민학교를 설립해 농촌운동을 시작했다.

1948년에는 한얼중학교를 설립, 이듬해에는 진례에 한얼중학교의 분관을 세우는 등 활발히 활동을 이어나갔으나 한국전쟁 중인 1950년 8월 2일 공산주의자로 몰려 억울하게 총살당했다.

이후 선생의 무고가 밝혀지면서 1954년에는 한얼중학교 교정에 강성갑 추모 동상이 제막됐고 1988년 처음 강성갑 선생 추모 행사가 열렸다.

2008년 진실화해위원회는 강성갑 선생의 억울한 죽음을 재차 인정했다.

김해시 관계자는 “지역의 문화예술 공간이자 지역사 연구의 중심인 박물관에서 김해의 역사적 인물을 널리 알려 지역민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한다”며 “진영을 대표하는 역사 인물인 강성갑 선생의 생애와 그 발자취를 살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진영역철도박물관은 1905년 지어져 100년 이상 지금의 자리를 지켜왔던 옛 진영역사를 박물관으로 탈바꿈시킨 국내 최초 등록 공립철도박물관으로, 지역의 역사와 추억을 연구·보존·전시하기 위해 2019년 개관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김민호 의원, “성과 없는 만족도·행정 위한 행정 멈춰야... 데이터로 설명하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김민호 부위원장(국민의힘, 양주2)은 2025년 11월 10일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평생교육진흥원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정책 전반에 대해 “만족도와 실적 숫자 나열이 아니라, 목적 달성도와 변화지표로 성과를 증명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문했다.김민호 의원은 특히 청년·중장년·장애인 등 대상별 사업들이 “행정을 위한 행정”으로 흐르지 않도록 성과지표 고도화와 사후관리

경기도의회 윤태길 의원, “사회서비스원, 내실 있는 운영으로 도민 체감 복지 실현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윤태길 의원(국민의힘, 하남1)은 11월 10일 제387회 정례회 중 경기도사회서비스원 행정사무감사에서 “조직의 안정화와 실질적인 운영 없이는 사회서비스원의 공공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이제는 외형적 성과보다 내실 있는 행정으로 도민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윤 의원은 먼저 사회서비스원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선언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경기도의회 이학수 의원, “축제 안전사고 반복... 투명한 보고체계로 진짜 안전문화 세워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학수 의원(국민의힘, 평택5)은 11월 10일개최된 문화체육관광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최근 경기도 내 축제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안전사고 문제를 지적하며, 도비지원 축제의 ‘특별 안전점검’ 실시와 ‘안전보고 의무화’ 제도 도입을 강력히 요구했다.이학수 의원은 “시흥갯골축제에서 전기카트와 관람객이 충돌하고, 정조대왕능행차에서는 말과 기수가 떨어지는 등 크고 작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