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 간 상생 방안 제언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1-23 09:20:17
  • -
  • +
  • 인쇄
인천연구원,‘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방안’연구 결과
▲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을 위한 전략 및 과제

[뉴스스텝] 인천연구원은 2024년 정책연구과제로 수행한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방안’ 연구의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복합리조트가 세계 관광의 신성장동력으로 등장한 가운데, 영종지역은 파라다이스시티와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등 복합리조트 2개소의 개장으로 지역관광 성장의 전환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복합리조트 내 대규모 점포 입점에 따른 상권 피해 및 교통대란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복합리조트와 지역 간 이해 및 상생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관광 성장의 전환기를 맞이한 영종지역을 대상으로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방안을 마련했다.

연구원은 데이터 전문기관과 협력하여 복합리조트 개장에 따른 지역의 영향을 진단했다. 복합리조트 개장으로 영종도 내 소비는 큰 폭으로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영종도 내 국내 관광객의 월평균 소비 규모(2024년 5 부터 6월 기준)는 전년동기 대비 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관광객 소비는 숙박·쇼핑(의류·잡화) 기능이 강한 복합리조트와 대형 카페/베이커리를 중심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며, 신규 복합리조트가 소재한 용유동에서 소비 규모 확대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외래관광객의 영종도 내 소비 역시 복합리조트 개장 시점을 기점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외래관광객의 영종도 내 소비는 파라다이스시티 개장(2017.4.) 이후 전년 동기 대비 50.6%,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 개장 전·후(2023.7.~2024.6.) 전년 동기 대비 24.2%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영종도의 관광중심성이 복합리조트 중심으로 변화하고, 지역별·업종별 소비 편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다소 아쉬운 점이다.

관련하여 지역에서는 복합리조트 조성 과정에서의 의견 배제, 복합리조트 개장에 따른 영향, 지역상생을 위한 제도적 장치 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영종 복합리조트를 둘러싼 지역이슈를 개선하고, 동반 성장하기 위해 복합리조트와 지역 상호 간 의무, 상생사업 추진구조, 지자체의 역할·권한에 따른 단계별 대응책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상생형 핵심상권 조성, ▲상생·공존형 관리ž이행체계 구축, ▲지역상생 정책의 추진기반 마련 등을 제안했다.

인천연구원 황희정 연구위원은 “정부의 허가ž심사 대상인 복합리조트의 특성상, 복합리조트를 둘러싼 이슈는 중앙정부ž인천광역시ž중구ž복합리조트ž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하여 풀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으며, “복합리조트와 지역 간 상생 정책 추진을 위한 협력형 행정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대구시의회 박종필 의원,'대구아리랑 보전 및 진흥 조례안'대표 발의

[뉴스스텝] 대구시의회 박종필 의원(비례대표)이 9월 5일, 제319회 임시회에서 대표 발의한 '대구아리랑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안'이 문화복지위원회 심사를 통과해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대구아리랑’은 대구 지역의 생활상과 정서를 담고 있는 향토 민요로, 팔공산, 금호강 등의 묘사나 지역 사투리 등 대구의 지역적 특색을 담은 가사가 특징이다.박 의원은 “대구 지역 고유의 향토 민요인

강북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 대상 체험 프로그램 운영

[뉴스스텝] 울산 강북교육지원청은 6일 울산교육연구정보원과 울산과학관에서 강북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과 지도력(리더십) 함양 프로그램을 운영했다.이번 프로그램에는 초등 135명, 중등 91명 총 226명이 참여했으며, ‘배움의 지도(리더), 나눔의 지도(리더)'를 주제로 7개 체험 활동과 특강이 진행됐다.학생들은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 디지털 그리기(드로잉)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에 직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대구광역시 지하안전위원회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대표 발의

[뉴스스텝]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비례대표)이 9월 5일, 제319회 임시회에서 대표 발의한 「대구광역시 지하안전위원회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이 기획행정위원회 안건 심사를 통과해 9월 12일, 제3차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육 의원은 “최근 지역 내 잇따라 발생한 지반 침하 사고는 도심지 지하 개발의 급증과 노후 지하 시설물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중대한 현안으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