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 런칭 포스터&예고편 최초 공개! 2023년 1월, 국내 개봉 확정!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11-22 09:20:05
  • -
  • +
  • 인쇄
▲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 런칭 포스터

[뉴스스텝] 누적 발행부수 1억 2천만 부를 돌파한 레전드 베스트셀러 ‘슬램덩크’의 신작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 가 오는 2023년 1월 국내 개봉을 확정하고 런칭 포스터와 예고편을 공개했다. [원작/각본/감독: 이노우에 다케히코 | 수입: 에스엠지홀딩스㈜ | 배급: NEW]

공개된 포스터는 강백호를 비롯한 송태섭, 정대만, 서태웅, 채치수까지 북산고교 5인의 얼굴을 직접 그린 듯한 이미지로 눈길을 사로잡는다.

포스터에 삽입된 ‘문제아가 뭐 어때서(송태섭)’, ‘왕년 중학MVP가 뭐 어때서(정대만)’, ‘내 중심인 게 뭐 어때서(서태웅)’, ‘풋내기가 뭐 어때서(강백호)’, ‘고릴라가 뭐 어때서(채치수)’라는 각 캐릭터에 걸맞은 카피는 팬들에게는 추억과 감동을, 개봉을 기다리는 관객들에게는 호기심과 설렘을 유발한다.

함께 공개된 런칭 예고편은 째깍거리는 초침 소리와 함께 영화 로고 사이로 보이는 북산고교 농구부의 경기 모습이 담겨 있어 이번 영화에서 어떤 이야기를 다룰 것인지 궁금증을 유발하는 가운데, ‘2023.01 경기 시작’이라는 카피로 마무리되며 본격적인 국내 개봉을 알렸다.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주간 소년 점프’(슈에이샤)에서 연재된 만화 ‘슬램덩크’는 한 번도 농구를 해본 적 없는 풋내기 강백호가 북산고교 농구부에서 겪는 성장 스토리를 그린 만화로, 손에 땀을 쥐는 경기 묘사와 농구에 청춘을 거는 인물들의 모습이 뜨거운 감동과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전 세계에서 사랑받고 있다.

‘슬램덩크’는 국내에서도 2001년 완전판을 비롯해, 2018년 신장재편판까지 시리즈 누계 발행부수 1,500만 부를 돌파했고, 지난 9월 글로벌 OTT 넷플릭스에도 TV 애니메이션 ‘슬램덩크’의 전체 화수가 업데이트되며 인기 순위 상위에 랭크되는 등 ‘올타임 레전드’로서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한편, 오는 12월 3일 개봉을 앞둔 일본에서는 편의점 등에서 판매된 사전 예매권이 삽시간에 매진되며, 추가 판매가 결정되는 등 흥행 돌풍을 예고하고 있어 국내 팬들의 기대감도 고조될 전망이다.

2023년 새해 극장가의 포문을 열어젖힐 ‘올타임 레전드’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오는 2023년 1월 국내 개봉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조희선 의원, 실효성 없는 정책에 30억… 도민 신뢰 저해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조희선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9월 10일 열린 제386회 임시회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 편성안 심사에서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업’의 실효성과 예산 적정성에 대해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조 의원은 “도민의 문화 접근성 향상이라는 사업 취지는 공감하지만,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유사한 지원을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어, 경기도의 별도 사업이 중복

농식품부 장관, 동물보호단체와 간담회 개최

[뉴스스텝]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9월 10일 오후, 서울 하나증권센터에서 주요 동물보호단체장과 동물복지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오는 10월 4일 법정기념일인 제1회 동물보호의 날을 맞이하여 동물복지 강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공유하고 동물보호단체의 건의 사항을 수렴하기 위해 개최됐다. 간담회에는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 전진경 동물권행동 카라 대표, 김세현 비글구조네트워

고용노동부, 성장과 상생을 위한 일터혁신 노사의 든든한 파트너, 우수 컨설턴트 선정

[뉴스스텝] 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은 일터 혁신의 현장 확산을 위해 「2025년 일터혁신 상생컨설팅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일터혁신’이란 노사 참여를 기반으로 일하는 방식 등을 개선해서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근로 여건을 향상시키는 지속적인 혁신 활동을 말하는데, 정부는 일터혁신을 희망하는 기업에 무료로 전문 컨설팅을 제공하는 사업을 통해 일터의 변화를 촉진하고 상생하는 문화 확산을 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