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찾아가는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역량강화 교육 실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6-23 09:10:15
  • -
  • +
  • 인쇄
위기가구 발굴 시 신고 방법 안내 및 활동수첩, 리플렛 등 활동물품 전달
▲ 성동구가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찾아가는 역량강화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뉴스스텝] 서울 성동구가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한다.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은 복지위기가구를 발굴·지원하는 주민으로 구성된 무보수·명예직의 인적안전망으로, 현재 성동구에서는 생활업종종사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복지통장 등 지역주민 약 4,900여 명이 위촉되어 어려운 이웃을 조기에 발굴하고 위기가구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그동안 구는 성동구약사회, ㈜BGF리테일, ㈜hy성동영업소, (사)한국외식업중앙회 성동구지회와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발굴 협약을 체결하고 이웃의 어려움을 가장 가까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약국 및 편의점 종사자, 야쿠르트 프레시매니저 등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해왔다.

이렇게 위촉된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의 활동을 강화하고 위기가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성동구가 '찾아가는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한다.

구는 가장 먼저 지난해 11월 업무협약을 체결한 (주)hy성동영업소의 행당점과 금호점을 찾아 위기가구의 정의 및 위기가구 발굴 사례 등을 안내하고 카카오톡 ‘성동이웃살피미’를 통한 비대면 신고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명예사회복지공무원 활동수첩 및 가이드북, 홍보물을 전달했다.

이날 교육을 들은 프레시 매니저 김OO 씨는 "이렇게 찾아와 위기가구 발굴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주니 더욱 의지가 생긴다. 앞으로 배달업무를 하면서 한 번 더 살펴보고 위기가구를 발견하면 적극 신고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성동구는 오는 9월까지 편의점과 약국, 외식업소를 순차적으로 순회하며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의 역할 및 위기가구 발굴 신고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안내하고 활동물품을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영업점 내에 복지사각지대 발굴 홍보물을 부착하여 생활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정보를 알지 못해 지원을 받지 못하는 대상자가 없도록 복지제도 홍보활동에도 적극 나선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이 주민 생활에 밀접한 업종에 종사하시는 만큼 이웃의 어려움을 가장 빠르게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찾아가는 역량강화 교육을 확대하여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할 수 있도록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평창군, 2025년 오대산 전나무 숲길 맨발 힐링 트레킹대회 개최

[뉴스스텝] 천년 전나무 사이를 맨발로 걸으며 자연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2025년 오대산 전나무 숲길 맨발 힐링 트레킹 대회”가 오는 20일 평창 진부면 오대산에서 개최된다. 이번 대회는 월정사 금강교를 출발해 전나무 숲길과 일주문을 지나 다시 월정사 주차장으로 돌아오는 왕복 약 2km 코스에서 진행되며,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다.참가비는 1만원이며, 참가자 전원에게는 약 1만원 상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전남지원 영광사무소, 무‧배추 새로 심으셨나요? 농업경영체 등록 변경신고하세요!

[뉴스스텝]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전남지원영광사무소은 농업정책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품목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9월부터 10월까지 무·배추 등 추계작물 정기변경 신고제*를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이번 정기 변경신고 기간에는 무․배추 등 추계작물의 경영체 등록정보 변경 사항(품목ㆍ농지 추가 또는 삭제 등)이 있으면, 영광농관원 사무소에 전화·방문하거나 콜센터(1644- 8778), 온라인서

청주시 농업기술센터, 작물환경 분야 기술보급사업 종합평가

[뉴스스텝] 청주시 농업기술센터는 17일 올 한 해 추진된 주요 기술보급 사업의 성과 공유·우수 사례 도출·개선 방안 논의를 위해 ‘2025년 작물환경분야 기술보급사업 종합평가회’를 개최했다. 농심관 느티나무실과 시범사업장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충북농업기술원 등 관계기관 관계자와 시범사업 참여 농가 등 80여명이 참석해 활발한 의견을 나눴다. 주요 내용으로는 △2025년 시범사업 종합평가 및 우수사례 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