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고창갯벌 빅버드레이스’, 성황리에 마무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8 08:15:31
  • -
  • +
  • 인쇄
▲ 제4회 고창갯벌 빅버드레이스

[뉴스스텝] 고창군이 주최한 ‘제4회 고창갯벌 빅버드레이스’가 지난 25~27일(3일간) 일정을 마치고,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대회는 세계자연유산 고창갯벌과 선운산유스호스텔 일원에서 열렸다.

국내외 36개팀, 130여 명의 탐조인이 참가해 고창갯벌의 철새를 관찰하고 기록했다.

고창군은 이번 대회를 통해 고창갯벌의 생물다양성을 확인하고, 갯벌 보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확산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

특히 올해 대회에는 영국, 일본, 홍콩 등 해외팀들이 함께 참여해 고창갯벌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중요한 기회를 가졌다.

‘고창갯벌에 사는 황새 이야기’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시작으로, 고창갯벌을 비롯한 운곡습지, 선운산도립공원 등 고창군 전역에서 본격적인 탐조 활동이 펼쳐졌다.

대죽도 탐조를 위한 트랙터 지원과 초보 탐조팀을 위한 기초 교육이 진행되어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또 업사이클링 밴드 ‘훌라(HOLLA)’의 공연과 함께 갯벌과 철새를 주제로 한 전시·체험 부스가 운영됐으며, 시상식에서는 탐조 기록을 공유하며 서로의 성과를 축하하고, 고창갯벌의 생태적 가치를 재확인하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됐다.

대회 기간 중 가장 많은 조류를 관찰한 ‘레굴루스 레굴루스‘팀이 대상을 수상했으며, 최우수상 ’Friends of Getbol(영국)‘팀, 우수상 ‘호반새’팀, ‘강화탐조클럽’팀, 특별상 ‘흑고니’팀, ‘새랑꿈이랑’팀, 멋쟁이새 으뜸상 ’저어새의 고향 강화‘팀, ‘에코플라이어스’팀, 희귀새상 ’Team Hongkong(홍콩)’팀, ‘보물섬’팀, 갯벌키퍼스상 ‘새봄’팀, 가족 으뜸상 ‘솔바람’팀, ‘아자꿈날개’팀, 해외팀 으뜸상 ’Team Hongkong(홍콩)’팀, 산넘고 물건너상 ‘에코플라이어스’팀, 최연소 참가상 ’준앤현’팀, 최연장자 참가상 ‘새랑 꿈이랑’팀, 고창사랑상 ’많이보새‘팀, ’라온이네’팀, ‘이가네’팀 등 총 10여개 부문에 걸쳐 수상이 이뤄졌다.

올해 대회에서는 총 156종의 조류에 대한 1,793건의 탐조 기록이 수집됐으며, 특히 고창군 미기록종인 붉은왜가리, 흰눈썹북방긴발톱할미새, 노랑허리솔새, 쇠찌르레기, 흰허리큰뒷부리도요 등이 발견되는 성과도 있었다.

대회 탐조 기록은 고창갯벌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고창갯벌 빅버드레이스를 통해 고창갯벌의 생태적 가치와 지속 가능한 보전의 중요성에 대해 많은 분들이 공감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갯벌 보전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고창갯벌의 가치를 널리 알려 나가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 4일간 대장정 성황리 마무리

[뉴스스텝] ‘음성명작에서 피어난 6가지 이야기’라는 주제로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금왕읍 금빛근린공원에서 열린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이 올해의 음성명작 대상 시상을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올해로 네 번째를 맞이한 음성군 통합농산물 축제인 음성명작페스티벌은 개막부터 축제가 끝나는 날까지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나흘 동안 25만여명이 다녀가 전년도 대비 78.6%의 방문객 증가를 기록하며,

‘춤으로 세계를 품다’ 천안흥타령춤축제에 89만명 방문…"세계적 경쟁력 확인"

[뉴스스텝] 춤으로 세대와 국경을 초월한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가 친환경 드론 라이트쇼를 끝으로 28일 폐막했다.올해 흥타령춤축제는 ‘All that Dance in Cheonan’이란 슬로건으로 24일부터 천안종합운동장과 천안시 일원에서 열렸다.천안시와 천안문화재단은 24일부터 닷새간 89만 4,000명의 국내외 방문객이 축제장을 찾은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61개국 4,000여 명의 무용단과 방문

전남도, 정부 전산 장애 상황 속 도민 서비스 정상화 온힘

[뉴스스텝] 전라남도는 국가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해 도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불편이 예상됨에 따라 수기 처리, 신청기한 연장, 대체 창구 안내 등 방법을 통해 도민 불편 최소화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주민등록등·초본 등 제증명은 읍면동사무소를 직접 방문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입신고는 읍면동 수기 접수를 통해 일괄 소급 적용된다.주민등록증 발급 및 재발급은 시스템 복구 시까지 불가함에 따라 과태료는 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