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2025 업무보고 시작...30만 개 일자리 창출 위한 청사진 마련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1-14 08:10:08
  • -
  • +
  • 인쇄
2024년 성과 및 2025년 주요업무 추진 방안 공유…핵심 주제는 단연 ‘일자리’
▲ 기획조정실 업무보고

[뉴스스텝] 고양특례시가 13일부터 2025년 업무보고를 시작했다.

주무관부터 실·국장, 부시장, 시장까지 전 직원이 모두 참석해 수평적 토론 형태로 진행되는 올해 보고회의 주제는 단연 ‘일자리’다.

주택공급, 인구팽창 중심의 성장으로 잠재력이 떨어진 고양의 도약을 위해 나이, 부서, 직급을 가리지 않고 산업기반과 일자리 마련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자는 취지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성장을 멈춘 기업은 필연적으로 혁신에 나선다. 고양특례시도 도시구조의 전면 개편, 리브랜딩을 통해 오늘의 위기를 극복할 것”이라며 “직원 여러분 각자가 도시 경영가라는 마음을 갖고 새로운 도약에 힘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발맞추어 각 부서는 2025년의 업무 목표, 그리고 반드시 추진해야 하는 1년의 살림 계획을 보고한다.

민선8기 핵심 사업의 성과를 조속히 창출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한다. 특히 올해 결실을 볼 것으로 예상하는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GTX-A 노선 개통에 연계된 순환 교통체계 구축, 노후계획도시 정비 계획 등이 집중 논의될 예정이다.

특히, 9월 고양시에서 개최되는 아태총회는 세계 190여 개 도시가 참석하는 만큼 더욱 철저히 계획을 점검할 예정이다. 대형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함으로써 고양시가 K-마이스 산업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국내외 첨단산업 분야의 유수 기업 유치를 위해 고양시의 브랜드가치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 시장은 “업무보고는 공직자들이 시장에게 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에게 하는 것”이라며, “그린벨트와 논밭이었던 대곡이 108만 대도시의 핵심 자족단지로 바뀔 예정인 것처럼, 여러분들의 혁신과 열정이 고양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어 낼 것”이라 소회를 밝혔다.

이번 업무보고회는 약 한 달 간 고양시 모든 부서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으로, 신속한 업무 추진과 예산 집행 논의를 통해 얼어붙은 지역 경제 곳곳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한편, 고양특례시는 13일 오전 신년 기자회견에서 도시 역동성을 되찾기 위한 리브랜딩 3가지 전략을 밝힌 바 있다. 시는 ▲2030년 일자리 30만개 창출 ▲순환교통체계 구축 ▲2036 서울올림픽 협력이라는 전략 담아 새 미래를 향한 도약을 시작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충남도, 중 광둥성 대표단 첨단 산업 현장 방문

[뉴스스텝] 충남도는 26일 예산 스플라스 리솜에서 열린 ‘2025 베이밸리 국제심포지엄 및 제10회 환황해 포럼’에 참석한 중국 광둥성 대표단이 도내 첨단 산업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환황해 포럼은 환황해권 국가·지역 간 협력과 공동 번영을 논의하는 국제 회의로, 10회를 맞은 올해에는 베이밸리 국제심포지엄과 함께 개최했다.이날 주융후이 광둥성 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을 비롯한 광둥성 대표단은 포럼 참석 이

충남도, “해미읍성, 전 세계적인 명소로 만든다”

[뉴스스텝] 충남도의 대표적인 역사·문화 축제 ‘서산 해미읍성 축제’가 막을 올렸다.김태흠 지사는 26일 해미읍성 일원에서 열린 ‘제22회 서산 해미읍성 축제’ 개막식에 참석해 방문객을 환영하고 축제 개최를 축하했다.해미읍성 축제는 600여 년 역사를 간직한 해미읍성을 배경으로 전통문화와 현대적 감각을 결합해 선보이는 도 대표 가을 축제다.올해는 ‘고성방가(古城放佳)’를 주제로 다양한 공연과 체험, 전시가

‘제2회 음성명작 요리경연대회’ 개최...지역농산물 우수성 널리 알려

[뉴스스텝] 음성군은 26일 금왕읍 금빛근린공원 주무대에서 명작페스티벌과 연계한 ‘제2회 음성군 명작요리경연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대회는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지정공모 사업(출연기업: 한국동서발전㈜)에 선정돼 ‘명작의 음성이 들려’라는 주제로 열렸다.음성군 농산물을 활용한 다채로운 레시피를 발굴하고 보급함으로써 지역농산물 브랜드 ‘음성명작’의 가치를 높이고, 우리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