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 2023년 예산안 1조 4,599억원 편성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11-22 08:10:29
  • -
  • +
  • 인쇄
위기대응 확장재정 기조 속에 전년대비 1,582억원(12.1%↑) 증가
▲ 강릉시청

[뉴스스텝] 강릉시는 2023년도 총예산안 규모를 1조 4,599억 원으로 편성해 21일(월) 시의회에 제출했다.

내년도 예산안은 전년도 1조 3,017억 원보다 1,582억 원(12.1%↑) 늘어났으며, 이중 일반회계는 1조 2,913억 원으로 전년보다 999억 원(8.4%↑) 증가했다.

주요 재원은 일반회계 기준 지방세 1,392억 원 및 세외수입 561억 원, 지방교부세 5,375억 원, 지역소멸대응기금 20억 원, 조정교부금 326억 원, 국·도비 보조금 4,702억 원, 순세계잉여금 300억 원 및 예탁금 원리금 회수 237억 원 등이다.

이번 예산안은 고물가·고금리 등 실물경제 악화 위기를 맞아 1·2차 산업 육성, 일자리 및 취약계층 민생안정 도모, 소상공인 지원 확대, 문화예술관광 사업의 회복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용 가능한 재원을 최대한 투입함으로써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또한, 민선 8기 주요 정책과제를 이행하기 위한 재정적 뒷받침과 미래 성장동력이 될 자원확보를 통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일상 속의 재난ž재해예방 등 안전관리와 사회안전망을 확대하고, 도로ž상하수도 등 사회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주민편익 증진에 중점을 두었으며, 2023 세계합창대회, 도민체전 및 장애인생활체전, 2024 동계청소년올림픽, 2026 ITS 세계총회 등 대형 이벤트를 차질없이 준비하고자 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강릉사랑상품권 발행 79억 원, ▲강릉형 일자리 지원사업 54억 원, ▲과학산업단지 확장 57억 원, ▲관광거점도시사업 124억 원,▲경포지구 방재시설(유수지) 조성사업 170억 원, ▲허브거점단지조성 100억 원, ▲해안변 녹지축 공원화 조성사업 88억 원,▲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 79억 원, ▲미래교통복합센터 건립 67억 원, ▲소각시설설치 206억 원, ▲사천1단계, 옥계2단계 하수관로 정비사업 105억 원, ▲도민체전 및 장애인생활체전 47억 원 등을 편성했다.

강릉시 관계자는 “경제여건 악화로 어려운 시기에 확장적 재정운영을 통해 지역사회에는 온기를 불어넣고, 지역경제에는 활력이 돌게 하는 한편, 시민들의 세금이 허투루 쓰이지 않도록 재정관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3년도 예산안은 제305회 강릉시의회 제2차 정례회를 거쳐 내달 12일 확정될 예정이며,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신속히 집행될 수 있도록 연내 사전준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속초시, 고위직이 먼저 바꾼다! 성평등 조직문화 확산 앞장

[뉴스스텝] 속초시는 11월 10일 시청 신관 대회의실에서 이병선 시장을 비롯한 5급 이상 고위직 공무원 44명을 대상으로 ‘4대 폭력 예방 및 도란도란 토론으로 키우는 성인지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등 4대 폭력 예방을 위한 법정 의무교육으로, 단순한 강의식이 아닌 토론과 참여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속초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공직사회의 성인지 감수

이천시 관고동,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 운영

[뉴스스텝] 이천시 관고동 주민자치회는 전국민 인공지능(AI)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직원, 학습센터 강사, 주민자치위원 등 14명을 대상으로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을 11월부터 매주 토요일 총 4회 운영한다고 밝혔다.관고동 주민자치학습센터는 지난 8월 행안부에서 발표한 전국민 인공지능(AI) 전사화 초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내년도 전국민 인공지능(AI) 교육 전면 시행에 앞서 인공지능(A

경상남도의회, 직업교육 취업률 급락·이주배경학생 지원확대… “학생 중심 정책 전환” 촉구

[뉴스스텝] 경상남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이찬호)는 제428회 경상남도의회 정례회 기간 중 4일차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밀양교육지원청, 창원교육지원청, 창원도서관, 교육정보원을 대상으로 교육행정의 현안과 정책 추진 실태를 점검했다. 이날 감사에서는 직업교육 취업률 하락, 체육행정의 편중 운영, 이주배경학생 지원 미비, 과밀학급, 미래학교공간재구조화 사업, 교원 성희롱 재발 방지 등 교육현장의 주요 문제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