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 세계지방정부연합(UCLG) 국제문화상 수상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9 07:50:33
  • -
  • +
  • 인쇄
청년문화에 진심인 관악구! 세계지방정부연합(UCLG) 국제문화상 수상 쾌거
▲ 멕시코 시티 국제세미나에서 청년문화 정책을 발표하고 있는 관악구 대표단

[뉴스스텝] 관악구가 ‘제6회 세계지방정부연합(UCLG) 국제문화상’에서 ‘우승 도시’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국제문화상은 세계지방정부연합(UCLG)과 멕시코시티가 공동 주관하는 상으로, UCLG는 2012년부터 2년마다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문화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지방정부와 개인을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세계지방정부연합은 UN에서 인정한 지방자치단체기구로, 중앙정부의 힘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세계 지방자치단체들이 모여 해결해 나가기 위해 조직된 비정부 연합체이다. 2004년 출범하여 현재 140개국의 240,000여 개의 지방자치단체와 175개의 지자체 협의체가 속해있다.

올해 개최된 제6회 국제문화상에는 전 세계 총 87개 지방 정부가 응모하여 관악구(대한민국)와 라파스(볼리비아)가 우승도시로 최종 선정되었다. 이로써, 관악구는 2022년 OECD 정부혁신 우수사례 수상 이후 두 번째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게 되었다.

구는 ‘대한민국 청년문화 수도, 관악’을 주제로, 청년을 의사결정 주체로서 지역 사회와 공공정책 과정에 참여시키고,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공간을 조성하였으며, 청년들을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다수 운영하였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멕시코 현지시간 7월 25일 멕시코시티 문화센터 ‘El Rule(엘룰)’에서 열린 국제세미나에서 관악구는 ▲관악청년청 ▲신림동 쓰리룸 ▲그루브 인 관악 등 관악구가 성공적으로 추진해 온 청년 문화 정책을 발표하여 큰 호평을 받았다.

구는 전국 최초로 청년 정책 전담 부서를 만들고, 서울시 최초로 ‘청년문화국’을 신설했다. 또한 청년들의 정책 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 청년정책위원회, 청년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특히 청년 예술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 종합 활동 거점공간인 ▲관악청년청 ▲문화플랫폼 1472 ▲별빛내린천 버스킹 존 등 청년들을 위한 문화 공간도 꾸준히 조성해 왔다.

한편, 구는 2023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청년 정책 사업으로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청년친화헌정대상’도 2회 연속 수상한 바 있다.

박준희 구청장은 “그간 청년 문화 정책에 심혈을 기울였던 노력이 결실을 맺어 권위 있는 국제문화상을 수상하게 되어 기쁘다.”라며, “앞으로도 지역문화 거버넌스의 핵심 주체인 청년들의 열정적인 참여를 응원하며, 청년들이 행복하고 꿈을 펼칠 수 있는 관악구를 만들어 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전국 최초 의료·생명 특화 ‘국립강원전문과학관’, 원주서 개관

[뉴스스텝] 전국 최초로 의료·생명 분야에 특화된 ‘국립강원전문과학관(관장 손석준)’이 7일 오후 2시, 과학관 빅뱅광장에서 개관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했다.국립강원전문과학관은 과학 문화 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핵심 사업이다. 지역사회가 오랜 기간 염원해 온 강원권 과학 문화 거점기관의 탄생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이번 개관식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국립강원

군위군 터링 선수단, 격려 속 첫 전국대회 출전

[뉴스스텝] 김진열 군위군수는 군위군 터링 선수단(지부장 이명숙) 및 군위읍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관계자(사무장 오상경)들과 지난 6일 군수실에서 간담회를 가졌다.이번 간담회는 오는 11월 8일 열리는 ‘제5회 전국터링대회’ 출전을 앞두고, 군위읍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을 통해 양성된 터링 선수단이 1차 자격교육과 2차 실습교육을 마친 뒤 터링 봉사활동을 이어온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첫 전국대회 출전을 앞

경기도의회 이병길의원, “복지예산 삭감과 부실 행정, 도민 체감 복지 위협, 투명한 관리와 개선 필요”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이병길 의원(국민의힘, 남양주7)은 11월 7일 열린 2025년 행정사무감사에서 복지국을 상대로 장애인판매시설의 비리 의혹, AI 돌봄로봇 지원사업의 관리 부실, 극저신용대출의 회수율 저조 등 복지행정 전반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복지는 예산의 크기가 아니라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신뢰의 행정으로 완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병길 의원은 이날 감사 서두에서 “입동을 맞은 오늘, 혹독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