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 명 시선 사로잡은 단양 철쭉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7 07:55:10
  • -
  • +
  • 인쇄
생중계 호응에 “내년엔 직접 가고 싶다” 반응 잇따라
▲ 철쭉제를 유튜브로 보고 있는 관광객

[뉴스스텝] 유튜브 화면 너머로 전해진 단양의 봄에 100만 명이 반응했다.

축제추진위원회에 따르면 제41회 소백산철쭉제가 성황리에 마무리된 가운데, 주요 공연을 유튜브로 실시간 생중계하며 현장의 열기와 감동을 널리 전해 큰 호응을 얻었다.

궂은 날씨와 거리상의 제약으로 현장 방문이 어려운 이들을 배려한 이번 온라인 생중계는, ‘누구나 참여하는 축제’라는 철쭉제의 지향점과 맞닿으며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냈다.

군은 철쭉제 기간 중 개막식과 소백산 산신제, 철쭉 하모니 콘서트, 사투리 경연대회 등 주요 프로그램을 단양군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송출했다.

이는 관람 인파로 인한 혼잡, 건강상의 이유, 고령, 타지 거주 등 다양한 사정으로 현장을 찾기 어려운 이들도 축제에 함께할 수 있도록 마련한 조치였다.

특히 몸이 불편한 노약자, 고령층, 타지 출향인, 해외 교민 등에게 유튜브 생중계는 시공간의 제약 없이 축제에 동참할 수 있는 소중한 창구로 기능하며 참여의 폭을 넓혔다.

실시간으로 단양의 생생한 봄 축제를 접한 시청자들은 “좋은 프로그램과 현장감 덕분에 내년엔 꼭 직접 단양에 가서 도파민을 제대로 느껴보고 싶다”며, 직접 방문 의사를 밝히는 반응도 이어졌다.

이번 유튜브 생중계와 관련 각종 영상 콘텐츠는 축제 종료 직후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누적 조회 수가 100만 회에 육박하는 기록을 보이고 있다.

이는 단양군이 추진한 디지털 기반 축제 운영의 성과를 입증하는 지표로, 철쭉제의 인기를 넘어 지역 문화 콘텐츠의 온라인 확산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 생중계를 통해 단양의 자연과 전통문화가 전국으로 퍼져나가며, 지역 관광 브랜드 제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낳고 있다는 분석도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군은 실시간 송출 외에도 주요 공연 영상을 유튜브 채널에 다시보기(VOD) 콘텐츠로 상시 제공해 축제 이후에도 단양의 문화와 감동을 지속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했다.

해당 영상들은 축제 종료 이후에도 꾸준히 조회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기반 지역축제 콘텐츠의 지속성과 확장성을 뒷받침하는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생중계는 단양의 아름다움과 축제의 감동을 시간과 공간을 넘어 더 많은 이들과 나누기 위한 시도였다”며 “앞으로도 군민은 물론 외부 방문객들과도 더욱 폭넓게 소통할 수 있는 축제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과기정통부, 최고 수준 소프트웨어 역량의 실시간 승부! '제25회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뉴스스텝]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하는 '제25회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가 지난 11월 22일 부산광역시 벡스코에서 개최됐다. 2001년에 시작되어 올해 25회째를 맞는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는 대학생들이 소프트웨어 기반 문제해결 및 알고리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대회이다. 올해 예선 대회에는 50개 대학 29

제1회 경남도지사배 전국 낚시대회 개최!

[뉴스스텝] 경상남도는 23일 거제시 지세포항을 기점으로 장승포항, 지심도, 해금강 인근 해상에서 경남도 지원·한국낚시어선협회 경남지부 주관 ‘제1회 경남도지사배 전국 낚시대회’를 개최했다.‘경남도 2030 낚시산업 활성화·어선안전 방안’의 일환으로 안전한 낚시 문화 확산을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 전국 낚시인 400여 명과 낚시어선 20여 척이 참가했다. 참자가들은 지정된 해역에서 낚아 올린 문어의 총합

경남도, 도-시군 청년네트워크, 함양 청년마을 현장견학

[뉴스스텝] 경상남도는 도-시군 청년네트워크 회원 60여 명이 지난 22일 함양 청년마을을 견학하고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참가자들은 함양군에 위치한 청년마을 ‘고마워, 할매’ 조성 배경과 운영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마을 내 체험·공유 공간, 주거 시설 등을 직접 둘러보며 청년들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모습을 살펴봤다.함양 청년마을 ‘고마워, 할매’는 시골에서 할머니가 차려준 밥상을 먹으며 휴식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