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S ‘위대한 집쿡 연구소’ 강호동의 최애 요리 등장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1-09-02 16:54:50
  • -
  • +
  • 인쇄
자칭 ‘오징어 먹물 리소토 감별사’ 모두가 웃지 못한 이유는?
▲ <사진 제공> 채널S ‘위대한 집쿡 연구소’
[뉴스스텝] 채널S ‘위대한 집쿡 연구소’에서 MC 강호동의 최애 요리 ‘오징어 먹물 리소토’가 등장한다.

‘가짜 밀키트 연구소’ 코너에서 세계 각국의 요리 밀키트들이 공개된 가운데, 강호동은 자칭 ‘오징어 먹물 리소토 감별사’라고 자신감을 드러내 눈길을 모은다.

오늘 저녁 8시 채널S에서 방송되는 ‘위대한 집쿡 연구소’의 자칭 ‘오징어 먹물 리소토 감별사’ 강호동의 모습이 담긴 2회 선공개 영상이 채널S의 네이버TV 공식 채널과 채널S의 유튜브 공식 채널을 통해 공개됐다.

채널S ‘위대한 집쿡 연구소’는 코로나 시대, 집콕 생활이 길어지면서 ‘오늘 뭐 먹지?’라는 고민이 깊어진 가운데 연예계 최고의 요리 장인 강호동, 김준현, 이특이 실제 판매되는 다양한 ‘밀키트’에 대해 알아보고 ‘결정적인 한 방’ 레시피로 세상 어디에도 없던 특별한 요리를 탄생시키는 쿡 버라이어티다.

공개된 선공개 영상 속에는 이특의 ‘가짜 밀키트 연구소’의 메뉴로 ‘오징어 먹물 리소토’가 등장하는 모습이 담겼다.

강호동은 ‘오징어 먹물 리소토’를 자신의 최애 음식이라고 밝히며 “제가 오징어 먹물 리소토는 감별사 수준”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특은 서래마을의 별점 1위 맛집의 ‘오징어 먹물 리소토’라고 소개하며 멤버들의 기대를 모았다.

강호동은 자리에서 일어나 ‘오징어 먹물 리소토’가 담긴 접시를 한 손에 들고 진짜 밀키트인지, 가짜 밀키트인지 감별을 시작, 과연 그가 가짜 밀키트를 찾을 수 있을지 궁금증을 끌어올린다.

본격적인 먹타임이 시작되자 김준현과 강호동은 “오~ 솔레미오~”며 이탈리아 노래를 불렀고 히밥의 돌고래 코러스가 더해진 뜻밖의 합창이 분위기를 달궜다.

네 사람의 거침없는 먹방 타임이 이어진 가운데 ‘오징어 먹물 리소토’의 맛을 물어본 이특. 그러나 ‘오징어 먹물 리소토’의 먹물 때문에 모두가 ‘입틀막’하며 웃지도 못하는 상황이 펼쳐졌다.

이때 김준현이 입을 작게 벌린 ‘쪼꼬미입’으로 “아주~맛있어요”고 간신히 이야기한 모습이 담겨 웃음을 유발한다.

강호동이 자신의 최애 요리라고 밝힌 ‘오징어 먹물 리소토’가 과연 진짜 밀키트일지, 아니면 가짜 밀키트일지 오늘 목요일 저녁 8시에 방송되는 채널S ‘위대한 집쿡 연구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여수시의회 송하진 의원, “정부조직개편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에 맞춰 ESS 에너지자립섬 추진해야”

[뉴스스텝] 여수시의회 송하진 의원(무소속, 미평·만덕·삼일·묘도)은 9월 16일 열린 제250회 여수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정부조직 개편과 COP33 유치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ESS 에너지자립섬’ 정책을 제안했다.송 의원은 “사도와 추도의 송전탑은 천혜의 자연경관을 훼손하는 흉물”이라며 “이제는 송전선 없이도 전력을 자급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그

경상원, 골목상권 자생력 강화 위한 역량 교육 3회에 걸쳐 성료…도내 상인회 140여 명 참여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골목상권 상인회를 대상으로 역량 강화 교육을 16일 오후 의정부도시교육재단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2025년 골목상권 활성화 기반지원’ 사업 일환으로 노무, 상권 운영 등 다방면에서 상인회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 지난 2일(수원 컨벤션센터), 9일(안양아트센터)에 이어 이날 교육까지 총 3차에 걸쳐 권역별로 교육이 진행됐다. 이날 교육에 함께 한 경

이재명 대통령, 세종 근무 공직자 격려오찬

[뉴스스텝] 이재명 대통령은 세종청사에서 처음 개최한 국무회의 이후, 각 부처에서 국정과제 및 주요 현안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 공무원들과 따뜻한 오찬을 가졌다.참석자들은 '올해의 근로감독관' 출신 고용노동부 주무관, 강릉 가뭄 현장지원반으로 활동한 소방청 소방경, 해양수산부 직원들의 안정적 부산 이전과 정착 지원 계획을 마련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사무관, 공공갈등과 집단민원 해결의 전문가인 국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