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 차 국민 가수 노사연 “노래로 꼰대 되기 싫었다” '시티팝' 장르에 첫 도전한 이유 고백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1-08-13 15:59:12
  • -
  • +
  • 인쇄
EXO 시우민이 직접 밝히는 김연자 선배님 '아모르파티' 역주행 신화 비결 EXO 팬들 영향?
▲ <사진 제공> 채널S ‘신과 함께 시즌2’
[뉴스스텝] 채널S ‘신과 함께 시즌2’의 5회 게스트이자 43년 차 '국민 가수' 노사연이 한 번도 불러보지 않은 '시티팝' 장르에 처음 도전하게 된 이유를 고백한다.

노사연의 도전에 가수 후배 성시경이 가장 깊게 공감했다고 해 무슨 이유인지 궁금증을 끌어올리고 있다.

오늘 13일 방송되는 채널S의 예능 프로그램 ‘신과 함께 시즌2’에서는 5회 게스트 노사연이 보컬 선생님과 30년의 나이 차를 극복할 불호 없는 메뉴를 주문하는 모습이 공개된다.

‘신과 함께 시즌2’는 더욱 업그레이드된 케미를 보여줄 4MC 신동엽, 성시경, 이용진, 시우민이 ‘푸드 마스터’로 변신해 당신의 특별한 날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줄 메뉴를 추천하고 함께 이야기와 맛을 나누는 맞춤형 푸드 추천 토크쇼다.

노사연은 가수 데뷔 43년 만에 시티팝 장르에 도전했다.

신동엽이 “누나 정도 되면 편안하게 여생을 즐기면서 여유롭게 보낼 텐데. 누나는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 같다”며 놀라워하자 노사연은 “나이가 들수록 노래로도 꼰대가 되기 싫었다”며 시티팝 장르에 도전한 이유를 밝힌다.

이에 크게 공감한 성시경이 43세에 댄스곡에 도전한 이유를 밝히면서 가요계의 '고인물'이 될 것을 걱정하자, 노사연도 맞장구를 치면서 가수 선후배 사이의 공감 토크가 펼쳐진다.

성시경은 특히 시티팝 장르에 대해 “ 완전 정반대 스타일”이라며 “리듬을 타는 게 생각보다 어렵다”고 가요 지식을 쏟아내 눈길을 끈다.

이날 노사연은 국민 애창곡이 된 '만남'이 역주행의 원조곡이 된 사연을 공개해 흥미를 더한다.

역주행 경험에 대해 시우민은 김연자의 '아모르파티' 역주행이 엑소 팬으로 인해 탄생한 신화임을 언급해 놀라움을 자아낸다.

그러자 노사연은 “김연자 씨가 뭐 좀 많이 안 사줬어?”며 '아모르파티'의 역주행에 대한 김연자의 보답이 무엇인지 궁금해했다는 전언이다.

베일에 싸인 신동엽의 노래 실력도 이날 최초로 공개된다.

신동엽은 자신의 노래를 간절히 원하는 누나 노사연을 위해 김정호의 '이름 모를 소녀'를 즉석에서 '맨정신'으로 불러 의외의 극찬을 받는다고. 신동엽을 우쭐하게 만든 노사연과 성시경의 평가는 오늘 13일 저녁 8시 채널S의 ‘신과 함께 시즌2’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13회째‘진주시장배 족구대회’성료

[뉴스스텝] ‘제13회 진주시장배 족구대회’가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진주시 모덕체육공원 족구장에서 개최됐다. 진주시가 주최하고 진주시족구협회가 주관한 이번 대회는 동호인 상호간 단합과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생활체육 발전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이번 대회에는 330여 명의 족구 동호인들이 참가하여 열띤 경쟁을 벌였다. 진주시 5개 부 및 경상남도 1개 부가 참가하여 조별 예선리그 후 본선 토너먼트 경기로

함평군, 외국인 노동자와 '상생'하는 일터 문화 조성 앞장

[뉴스스텝] 전남 함평군이 지역 산업 현장의 외국인 근로자 권익 보호를 위해 고용주 대상 노동인권 교육을 성공적으로 마쳤다.함평군은 지난 11일 함평엑스포공원 주제영상관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 고용주를 대상으로 노동인권 교육이 진행됐다”고 15일 밝혔다.교육은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조건 보호와 인권 존중을 통한 상생의 고용 문화 확산을 목표로 마련됐으며, 교육에는 관내 계절근로자 및 제조업 등

여수시도시관리공단, 부서별 청렴교육 담당자 내부강사 자격 이수

[뉴스스텝] 여수시도시관리공단은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이 실시한 ‘청렴교육 내부강사 양성과정’에서 부서별 청렴교육 담당자 9명이 전원 수료했다고 15일 밝혔다.이번 과정은 부서별 청렴 담당자를 내부 강사로 양성해 전문성을 높이고, 자체 청렴교육의 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교육 과정에서는 △부패·공익신고 제도 △청탁금지법·이해충돌방지법 △갑질금지 및 행동강령 △청렴사례와 감사실무 등이 다뤄졌다. 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