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신년사 - 강원도] 김진태 강원도지사 신년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1-01 21:40:12
  • -
  • +
  • 인쇄
▲ 김진태 강원도지사

[뉴스스텝] 사랑하는 강원도민 여러분!
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여러분! 지난 한 해, 얼마나 고생 많으셨습니까?

우리는 마침내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길고 어두운 터널의 끝에 다다랐습니다. 지난 3년 간 중단되고, 취소됐던 지역축제들이 다시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실외 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벗고 자유를 만끽할 날이 가까워졌습니다.

하지만 기쁨을 즐길 틈도 없이, 세계경제 여건의 악화에 따른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여파로 서민경제의 주름은 깊어졌습니다. 도에서도 민생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 하고 있습니다만, 내년도 경제전망도 밝지 않아 걱정이 큽니다.

지난해 6월 출범한 민선8기 새로운 강원도정은 도민만 바라보며 쉼 없이 달려 왔습니다. 1조에 달했던 빚을 벌써 30% 가까이 갚았고, 국비 9조원 시대를 열었습니다. 특별자치도 지원위원회 설치, 도청 신청사 부지 선정,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등 단기간 내에 많은 일들을 처리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입니다. 도민 여러분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더 열심히 뛰겠습니다.

새해는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원년입니다.

강원도가 628년만에 강원특별자치도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바뀝니다. 하지만 이름만 바뀌어선 안 됩니다. 모든 것이 달라져야 합니다. 묵은 것은 버리고, 새로운 것을 펼치는 ‘제구포신(除舊布新)’의 정신으로 도민 중심의 특별자치도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강원특별자치도는 ‘경제’입니다. 군사, 농업, 환경, 산림 등에 대한 지긋지긋한 규제를 풀 수 있는 권한을 확보해서 기업과 사람이 들어오는 신경제 국제도시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민선 8기 새로운 강원도정의 목표입니다.

강원특별자치도는 ‘분권’입니다. 중앙정부에게 떡을 달라는 것이 아닙니다. 떡을 만들 절구통을 달라는 것입니다. 절구통만 주면 우리가 알아서 메밀떡도 빚고, 인절미도 빚고, 스스로 떡을 만들어 먹겠다는 뜻입니다. 예산보다 권한을 달라는 것입니다. 규제를 풀 수 있는 권한을 달라는 것입니다.

튼튼한 재정은 강원특별자치도의 기반입니다. 튼튼한 재정이 뒷받침되어야만 우리가 하고 싶은 일,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을 마음껏 추진할 수 있습니다. 고강도 재정혁신을 흔들림 없이 이어가겠습니다. 강원도 1조에 달했던 채무를 지난해 30% 가까이 줄였는데, 올해는 추가로 10% 줄일 것입니다. 쓸 땐 쓰고, 아낄 땐 아낀다! 불필요한 낭비는 없애고, 민생과 일자리에 대한 투자는 늘리겠습니다.

반도체, e-모빌리티, 수소, 바이오헬스 등 앞으로 강원도 100년을 책임질 미래 먹거리 산업에 대한 투자도 아끼지 않겠습니다. 반도체 교육센터 설립을 위한 소중한 ‘실탄’, 국비 200억 원을 확보했습니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등 미래전략산업 유치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습니다.

반 년 전, 취임사를 다시 되새겨 봅니다. 강원도를 기업이 찾아오는 자유로운 땅으로 만들겠다는 약속, 패배주의와 밀실행정 등 모든 부패와 단절하겠다는 약속, ‘인구 200만 지역내총생산 100조 사통팔달 수도권 강원시대’의 꿈을 실현하겠다는 약속 – 도민 여러분과의 약속을 잊지 않고 있습니다. 초심을 잃지 않고 흔들림 없이 미래를 향해 나아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1월1일
강원도지사김 진 태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포항시 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 최우수쉼터 평가…성평등가족부 장관상 수상

[뉴스스텝] 포항시는 지난 5일 서울 연세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 청소년복지시설 운영성과 보고대회’에서 포항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가 최우수쉼터로 평가받아 성평등가족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성평등가족부는 전국 청소년복지시설 쉼터를 대상으로 3년마다 시설환경·안전관리 등 6개 분야에 걸친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총 134개 청소년쉼터가 대상이었다.포항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는 S등

창원특례시, 비수도권 특례시 제도 개선 논의의 장 마련

[뉴스스텝] 창원특례시는 6일 리베라컨벤션에서 비수도권 특례시가 직면한 제도적 한계를 진단하고 실질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창원시자치분권협의회가 주관하고 창원특례시가 주최했다. 인구감소와 제도적 한계로 인한 비수도권 특례시의 어려움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실질적 권한 확보를 위한 정책적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자성

보령시 식품안전관리 강화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직무교육’ 실시

[뉴스스텝] 보령시는 6일 보령시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16명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직무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식품위생법' 제33조에 따라 실시된 정기교육으로,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의 기본소양 및 직무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교육은 2025년 식품안전관리 정책 방향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운영 식품위생 감시 사례를 통한 소비자식품위생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