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문화재단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가가호호(家加好好) 성과 전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01 20:00:09
  • -
  • +
  • 인쇄
가족의 이야기를 담다, '우리는 가족입니다'展
▲ 김포문화재단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가가호호(家加好好) 성과 전시

[뉴스스텝] (재)김포문화재단(대표이사 이계현)은9월 27일부터 10월 4일까지 김포아트빌리지 한옥마을 창작 4동에서 가족참여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아카이빙 전시 '우리는 가족입니다'展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25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가가호호(家加好好)’에 선정되어 5월부터 9월까지 운영된 프로그램의 성유 전시이다.

주요 전시 내용은 ▲우리집 레시피북 만들기 ▲미리 설계–우리집 만들기 ▲행잉지구볼 등 총 9개의 프로그램과 김포의 3세대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된 ▲가족캠프 '아날로그적 1박 2일'의 결과물로 구성됐다. 여기에 가족들이 직접 만든 작품과 활동을 기록한 아카이빙 영상이 전시 공간을 채우며, 시민들에게 함께한 일상 속 문화예술의 가치를 되새기는 자리를 마련했다.

특히 이번 전시는 단순히 작품을 감상하는 차원을 넘어, 의·식·주와 환경, 그 안에서의 가족의 의미와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민하는 장으로 기획됐다.

개막 당일인 9월 27일에는 전시와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됐다. 오전에는 환경을 고려한 식생활과 가족 주거공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특강이 ▲'우리집 짓기 – 그 전에 꿈꾸고 고민해야 하는 것들',▲'나와 가족과 지구를 위한 식탁'이라는 주제로 각각 열려, 전시 주제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시간을 제공했다.

오후에는 시민참여 프로그램으로 ‘21% 파티’ 중고의류마켓이 운영됐다. 참여자들은 중고 의류와 생활 소품을 나누고 교환하며, 환경과 일상 속 소비의 의미를 함께 되돌아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참여 가족들은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세대 간 소통과 협력을 경험하고, 가족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이었다”며 “‘가가호호(家加好好)’라는 말처럼, 함께할 때 더 행복해지는 하루였다”고 생생한 소감을 전했다.

김포문화재단 관계자는 “이번 아카이빙 전시는 단순한 기록을 넘어, 가족이 문화예술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의 삶과 맞닿은 다채로운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상원 김민철 원장, 안성·의왕 등 ‘통큰 세일’ 현장 방문…“민생 회복의 도약 계기”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도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현장을 찾아 홍보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경상원은 지난 25일 김민철 원장이 안성맞춤시장, 의왕도깨비시장 등을 방문해 통큰 세일에 동참하고 있는 상인들을 격려하고 시장을 방문한 도민들에게 페이백 행사를 알렸다고 전했다. 안성맞춤시장은 전통시장과 청년 상인들로 구성된 ‘청년생

군포시의회, ‘시민이 느끼는 의회’ 조사

[뉴스스텝] 군포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시민과 함께하는 해피투게더 2’(대표의원 이훈미, 소속의원 이길호․박상현, 이하 해피투게더 2)가 시의원과 시의회에 대한 시민 인식을 조사하는 활동을 펼쳤다.군포시의회에 의하면 해피투게더 2는 27일 산본로데오거리 원형광장에서 올해 5번째 시민과의 만남을 진행했다.이날 해피투게더 2는 ‘군포시의원들을 만나는 방법’, ‘군포시의회를 검색하는 매체’, ‘군포시의회를 생각하

편리해진 통큰 세일 페이백 ‘인기’…시흥시 페이백 3일 만에 조기 종료

[뉴스스텝] 지난 22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30일까지 9일간 진행되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행사가 도민들의 많은 관심으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이 조기 소진됐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시흥시 ‘통큰 세일’ 페이백 예산이 행사 3일째인 지난 24일 모두 소진됐다고 전했다. ‘통큰 세일’은 경기도 전통시장, 골목상권 등 420여 곳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소비 촉진 행사로, 사용 금액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