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특례시, 제29회 노인의 날 기념식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01 20:00:16
  • -
  • +
  • 인쇄
100세 맞이한 최순흥 어르신에게 청려장 전수…유공자 100명에 표창장 수여
▲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시청 에이스홀에서 열린 '제29회 노인의 날' 기념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뉴스스텝] 용인특례시는 1일 오후 시청 에이스홀에서 ‘제29회 노인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기념식에는 이상일 시장과 대한노인회 용인시 처인·기흥·수지구 지회, 지역내 39개 읍·면·동 경로당 회장과 회원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이상일 시장은 “여러 고난과 세파를 이겨내고 대한민국을 선진국 반열에 올려놓으신 어르신들의 노고를 우리 후배 세대는 잘 알고 있고, 번영을 누릴 수 있게 해주신데 대해 감사한 마음”이라며 “어르신들이 더 나은 복지를 누리고 더 평안한 삶을 사실 수 있도록 저를 비롯한 후배 공직자들이 열심히 돕겠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WHO 고령친화도시 인증을 받은 용인특례시는 경로효친사상을 바탕으로 지역의 어르신들을 위한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어르신 일자리 창출 예산을 지난해 236억원에서 올해는 272억원으로 36억원 늘려 운영 중”이라며 “전국에서 최초로 선보인 ‘어르신 동행매니저’ 사업과 ‘홀몸 어르신 잔고장 수리서비스’ 등을 비롯해 어르신을 위한 다양한 복지정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지만 어르신 관련 사업을 계속 늘려 가겠다”고 했다.

행사는 1부와 2부로 나눠 진행됐다. 1부 식전행사에서는 가야금 명창과 트롯가수 이수연 양의 무대가 열려 행사장을 방문한 어르신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가야금 연주자 예지와 전국 조선대가야금 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소리꾼 김효정은 아름다운 국악무대를 연출했다.

이 시장은 트로트 신동으로 평가받는 이수연 양의 무대가 끝난 후 용인특례시 캐릭터인 조아용 인형을 선물했다.

2부 기념식에서는 노인강령과 경로헌장 낭독식이 진행됐고, 용인의 발전과 노인복지에 기여한 시민을 위한 유공자 표창도 이어졌다.

올해 100세를 맞은 최순흥(처인구 양지면) 어르신은 명아주로 만든 청려장을 대통령으로부터 전수받고, 이상일 시장은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은수저 세트를 전달했다

아울러 용인의 발전과 노인복지에 기여한 모범노인 및 노인복지기여 유공자 표창으로 경기도지사상 4명, 시장상 43명, 시의장상 10명, 국회의원상 4명, 대한노인회 용인시 지회장상 39명 등 총 100명이 표창을 받았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상원 김민철 원장, 안성·의왕 등 ‘통큰 세일’ 현장 방문…“민생 회복의 도약 계기”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도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현장을 찾아 홍보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경상원은 지난 25일 김민철 원장이 안성맞춤시장, 의왕도깨비시장 등을 방문해 통큰 세일에 동참하고 있는 상인들을 격려하고 시장을 방문한 도민들에게 페이백 행사를 알렸다고 전했다. 안성맞춤시장은 전통시장과 청년 상인들로 구성된 ‘청년생

군포시의회, ‘시민이 느끼는 의회’ 조사

[뉴스스텝] 군포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시민과 함께하는 해피투게더 2’(대표의원 이훈미, 소속의원 이길호․박상현, 이하 해피투게더 2)가 시의원과 시의회에 대한 시민 인식을 조사하는 활동을 펼쳤다.군포시의회에 의하면 해피투게더 2는 27일 산본로데오거리 원형광장에서 올해 5번째 시민과의 만남을 진행했다.이날 해피투게더 2는 ‘군포시의원들을 만나는 방법’, ‘군포시의회를 검색하는 매체’, ‘군포시의회를 생각하

편리해진 통큰 세일 페이백 ‘인기’…시흥시 페이백 3일 만에 조기 종료

[뉴스스텝] 지난 22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30일까지 9일간 진행되는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행사가 도민들의 많은 관심으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이 조기 소진됐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시흥시 ‘통큰 세일’ 페이백 예산이 행사 3일째인 지난 24일 모두 소진됐다고 전했다. ‘통큰 세일’은 경기도 전통시장, 골목상권 등 420여 곳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소비 촉진 행사로, 사용 금액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