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제주들불축제, 세시풍속 '바람의 신 영등할망'과 충돌!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0 19:45:07
  • -
  • +
  • 인쇄
정월대보름 전후 개최… 전통과 현대의 균형 강조
▲ 2025 제주들불축제, 세시풍속 '바람의 신 영등할망'과 충돌!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고태민 위원장은 제436회 임시회에서 제주들불축제 일정이 제주 전통 신앙과 충돌하는 문제를 지적하며, 축제 운영 방향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들불축제는 제주의 자연과 전통을 기리는 대표적인 문화축제로, 들판을 불로 정화하고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중요한 행사다. 그러나 올해 축제 일정이 제주 전통 신앙인 ‘영등할망(영등할머니)’의 방문 기간과 겹치는 문제를 제기했다.

제주에서는 음력 2월을 '영등달'이라 부르며, 영등할망이 머무르는 기간을 특별하게 여긴다. 영등할망은 바다 생물의 씨를 뿌리고, 어업과 농업의 풍요를 가져다주는 신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따라 제주에서는 영등굿을 올리고, 그녀가 머무는 동안 배를 띄우지 않거나 빨래를 하지 않는 등의 전통적인 생활 규범을 유지하는 관습이 이어져 왔다.

제주의 세시풍속은 제주 섬 곳곳에서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관장하는 수많은 신(神)과 깊은 연관이 있다. 제주 사람들은 혹독한 추위를 벗어나 하루빨리 봄이 되기를 손꼽아 기다리며 특정 기간에 맞춰 이사하거나 집수리를 하는 등 제주만의 독특한 풍습인 '신구간(新舊間)'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주들불축제가 영등할망이 머무는 기간에 개최된 것은, 제주 전통신앙과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과거에는 세시풍속과 자연환경을 고려해 축제 일정을 조정해했지만, 최근 몇 년간 축제 일정이 행정적 편의에 따라 결정되면서 전통과의 조화가 부족해지는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제주들불축제는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전통 축제라는 점을 강조하며, 일정 결정 과정에서 전통과 신앙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고태민 위원장은 “일정 수립 과정에서 제주의 세시풍속과 민속을 존중하고, 전통 신앙과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월대보름 전후 개최 등 도민 공감대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신중하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통과 현대 축제가 균형을 이루며 공존할 수 있도록 행정의 역할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주들불축제가 진정한 의미에서 제주 고유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현대적 축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운영 방향을 면밀히 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용인특례시, 수지구치매안심센터 문 열어

[뉴스스텝] 용인특례시는 31일 수지구보건소 5층에 수지구치매안심센터가 새롭게 문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2일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을 비롯해 시·도의원, 관계기관 업무 담당자, 치매환자와 가족,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센터의 확장 이전을 축하했다. 수지구치매안심센터는 2018년 11월부터 수지구보건소 인근 건물을 임차해 운영해 왔으나,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통합관리를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 무주에 53m급 고가사다리차 배치…고층건축물 화재 대응 강화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는 무주소방서에 53m급 고가사다리차(사업비 9억 3천만 원)를 새롭게 배치하고 본격 운용에 들어간다고 31일 밝혔다.이번에 배치된 53m 고가사다리차는 무주군 최초의 고층건축물 대응 특수장비로, 최대 17층 높이(약 53m)까지 사다리를 전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층 아파트나 대형건물 화재 시 인명 구조와 화점 진입이 한층 신속하고 안전하게 가능해졌다.이 장비는 첨단

장성군, 7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 이의신청 접수

[뉴스스텝] 장성군이 30일부터 7월 1일자 기준 개별공시지가를 결정·공시했다. 장성군 누리집에 접속해 통합검색 창에 ‘지가’를 입력하면 화면 하단에서 ‘개별공시지가 열람’을 찾을 수 있다. 소재지 등 빈칸을 채워 넣고 ‘확인’을 누르면 지가를 볼 수 있다. 인터넷 이용이 어렵다면 장성군 민원봉사과 또는 토지 소재지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해도 된다. 토지 소유자 또는 이해 관계인이 개별공시지가에 의견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