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제주들불축제, 세시풍속 '바람의 신 영등할망'과 충돌!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0 19:45:07
  • -
  • +
  • 인쇄
정월대보름 전후 개최… 전통과 현대의 균형 강조
▲ 2025 제주들불축제, 세시풍속 '바람의 신 영등할망'과 충돌!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고태민 위원장은 제436회 임시회에서 제주들불축제 일정이 제주 전통 신앙과 충돌하는 문제를 지적하며, 축제 운영 방향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들불축제는 제주의 자연과 전통을 기리는 대표적인 문화축제로, 들판을 불로 정화하고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중요한 행사다. 그러나 올해 축제 일정이 제주 전통 신앙인 ‘영등할망(영등할머니)’의 방문 기간과 겹치는 문제를 제기했다.

제주에서는 음력 2월을 '영등달'이라 부르며, 영등할망이 머무르는 기간을 특별하게 여긴다. 영등할망은 바다 생물의 씨를 뿌리고, 어업과 농업의 풍요를 가져다주는 신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따라 제주에서는 영등굿을 올리고, 그녀가 머무는 동안 배를 띄우지 않거나 빨래를 하지 않는 등의 전통적인 생활 규범을 유지하는 관습이 이어져 왔다.

제주의 세시풍속은 제주 섬 곳곳에서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관장하는 수많은 신(神)과 깊은 연관이 있다. 제주 사람들은 혹독한 추위를 벗어나 하루빨리 봄이 되기를 손꼽아 기다리며 특정 기간에 맞춰 이사하거나 집수리를 하는 등 제주만의 독특한 풍습인 '신구간(新舊間)'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주들불축제가 영등할망이 머무는 기간에 개최된 것은, 제주 전통신앙과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과거에는 세시풍속과 자연환경을 고려해 축제 일정을 조정해했지만, 최근 몇 년간 축제 일정이 행정적 편의에 따라 결정되면서 전통과의 조화가 부족해지는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제주들불축제는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전통 축제라는 점을 강조하며, 일정 결정 과정에서 전통과 신앙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고태민 위원장은 “일정 수립 과정에서 제주의 세시풍속과 민속을 존중하고, 전통 신앙과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월대보름 전후 개최 등 도민 공감대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신중하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통과 현대 축제가 균형을 이루며 공존할 수 있도록 행정의 역할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주들불축제가 진정한 의미에서 제주 고유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현대적 축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운영 방향을 면밀히 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행정안전부, 재난문자, 정보는 늘리고 중복발송 줄인다

[뉴스스텝] 행정안전부는 재난문자가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길이를 확대하고, 중복·과다 송출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방식을 단계적으로 개선한다. 157자로 더 구체적이고 이해하기 쉽게 지금까지 재난문자는 90자 이내로 제한되어 간단한 수준의 안내만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길이를 최대 157자까지 확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상황에 맞는 재난정보를 국민께 전달한다. 157자 확대는 10월 31일부터

새만금청, 국내 최대 외국인 투자유치 행사 참가

[뉴스스텝] 새만금개발청은 10월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서울에서 개최하는 ‘인베스트 코리아 서밋(Invest KOREA Summit 2025)’에 참가한다. 인베스트 코리아 서밋은 국내 최대 외국인 투자유치 행사로, 새만금개발청은 ‘REal 대한민국, RE100 새만금’을 주제로 한 홍보부스를 설치하여 글로벌 투자자와 기업을 대상으로 새만금의 핵심 인프라, 인센티브

국토교통부, '공시가격 검증지원센터' 전국 확대 본격 논의 … 9개 시·도와 시범사업 업무협약 체결

[뉴스스텝] 국토교통부는 전국 9개 시ㆍ도와 ‘공시가격 검증지원센터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10월 30일 오후 국토연구원에서 체결한다. 이번 업무협약은 '부동산 공시제도 개선방안(’23.10)'의 후속조치 중 하나인 ‘시ㆍ도 공시가격 검증지원센터’를 제도화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그간 국토교통부는 정책연구용역 등을 통해 시ㆍ도 공시가격 검증지원센터 운영매뉴얼(안)을 마련(’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