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담은 일상 공간, '서울의 이용원' 전(展)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7-08 19:40:06
  • -
  • +
  • 인쇄
서울의 이용원에서 실제 사용된 이용 도구와 관련 사진 자료 전시
▲ 전시포스터

[뉴스스텝]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최병구)은 7월 9일부터 9월 1일까지 서울역사박물관 1층 로비전시실에서 근현대 서울시민의 삶을 보여주는 '서울의 이용원' 전시를 개최한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의 ‘도시역사박물관’으로서 살아있는 서울의 역사를 묵묵히 기록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기록의 일환으로서 ‘서울미래유산기록’ 사업은 ‘낙원떡집’ (2020년), ‘서울의 대장간’(2021년), ‘서울의 이용원’(2022년)을 충실히 조사했다.

이번 전시는 ‘서울미래유산기록’ 사업의 세 번째 조사 결과물인 ‘서울의 이용원’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여 ‘서울의 이용원 변천사와 시민들의 삶’이라는 주제로 재구성한 것이다. 시민들과 밀접한 공간인 이용원의 변천을 ‘이용원의 등장’, ‘이용원 전성시대’, ‘이용원의 재탄생’ 이라는 3가지 주제로 담아냈다.

1부 ‘이용원의 등장’은 근대 이용의 역사가 시작됐던 단발령 이후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시기를 다룬다. 이용원이 ‘개화당 제조소’라고 불렸던 시기의 모습, 일제강점기 이용 업계의 경쟁 구도 등을 당시 신문 기사와 사진자료를 통해 살펴본다. 지금과는 사뭇 달랐던 초창기 이용문화를 보여준다.

2부 ‘이용원 전성시대’는 1960~80년대 초 가장 성행했던 이용원의 모습을 조명한다. 이용원 공간의 한 부분을 포토존으로 조성하여 시민들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형제이발소, 효자동이발소 등에서 실제로 사용했던 이용 도구들과 ‘이발소 그림’ 액자를 전시한다. 이와 함께 이용원의 전성기부터 운영되어 서울미래유산으로까지 지정된 문화이용원과 성우이용원을 조사한 생생한 기록을 풀어냈다.

3부 ‘이용원의 재탄생’은 이용원의 쇠퇴기와 이를 극복하려 했던 이용 업계의 다양한 노력을 확인한다. 더불어 최근 바버숍이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하여 새로운 100년을 바라보는 서울의 이용원을 만나볼 수 있다. 구태의연한 이미지의 이용원이 아닌 새로운 시대에 발맞춰 변화하고 발전해 나가는 살아있는 생활문화를 느껴볼 수 있다.

전시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관람 시간은 평일․주말 관계 없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매주 금요일은 오후 9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공휴일을 제외한 월요일은 휴관이다.

최병구 서울역사박물관장은 “우리 주변에서 끊임없이 시민들과 소통했던 서울의 이용원 이야기를 통해 사소하다고 느꼈던 일상 공간을 다시 돌아보는 시간을 갖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의정부시 가능동 지사협, '100일간 사랑릴레이 배턴 잇기'로 나눔 실천

[뉴스스텝] 의정부시 가능동주민센터는 11월 5일 가능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100일간 사랑릴레이 배턴 잇기’의 첫 주자로 참여해 성금 50만 원을 전달했다고 밝혔다.가능동 지사협은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 발굴과 이웃돕기 특화사업 추진 등 다양한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며, 주민이 함께 만드는 따뜻한 복지공동체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이순희 위원장은 “회원들의 작은 정성을 모아 뜻깊은 기부에 동참해 기쁘다”며

의정부시 송산3동,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이용 준수 집중 홍보

[뉴스스텝] 의정부시 송산3동행정복지센터는 11월 6일 코스트코 의정부점에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위반 방지 집중 홍보 운동을 실시했다.이번 홍보 활동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 불법 주정차와 이중주차 등 위반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시민들에게 관련 단속 제도를 알리고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마련됐다.장애인전용주차구역은 차량에 ‘주차가능’ 표지를 부착하고 보행상 장애가 있는 장애인이 탑승한 경우에만 주차

화성시 역사박물관 제10회 유물 기증·기탁자의 날 행사 개최

[뉴스스텝] 화성특례시가 지난 6일 화성시 역사박물관에서 ‘제10회 유물 기증·기탁자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이날 기증식에는 백영미 화성특례시 문화관광국장을 비롯해 박물관에 유물을 기증·기탁한 시민 등 50여 명이 참석해, 지역의 역사와 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뜻깊은 기증을 기념했다.이번 행사에서는 장안면에 거주해 온 수성최씨 후손이 소장하던 다양한 고문헌류, 1900년대부터 사용된 민속품, 과거 화성에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