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농업기술원, 키위 인공수분‘기계화 기술’개발 나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1 19:25:03
  • -
  • +
  • 인쇄
제주 키위 인공수분 기계화로 노동력 절감 기대
▲ 제주도 농업기술원, 키위 인공수분‘기계화 기술’개발 나서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키위 재배에서 가장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는 인공수분 작업의 기계화 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키위는 암수 구분이 명확한 자웅이주 과수로 개화기 동안 수분수의 꽃가루를 암꽃에 인공적으로 수분시켜야 안정적인 착과가 가능하다. 따라서 인공수분은 키위 재배의 성공 여부를 좌우하는 중요한 작업이다.

인공수분은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수행돼야 하며, 10a 기준 약 39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전체 노동투입시간(171시간)의 약 23%에 달하며, 최근 농촌 현장의 노동력 부족, 인건비 상승, 고령화 등 농촌 현실과 맞물려 키위 농가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농업기술원은 기존 인력 중심의 인공수분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스피드스프레이어(SS기)를 활용한 기계수분 모델 개발에 착수했다.

일반적으로 SS기는 병해충 방제에 주로 사용되는 장비로 넓은 면적을 짧은 시간에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인공수분에 적용할 경우 생산비 절감과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꽃가루와 증량제 희석비율 △살포 횟수 △분사 노즐위치 등 착과에 관여하는 주요 변수를 비교 분석하고, 기계수분에 최적화된 표준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더불어, 실제 농가 현장에서 실증시험을 통해 기계살포 시 꽃가루 사용량과 착과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용기술로 농가에 보급할 방침이다.

박재홍 아열대과수연구팀장은 “기계수분 기술은 키위 농가의 노동력 부담을 줄이고, 생산비 절감과 고품질 생산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키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기술 개발과 보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이천시, 이황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흉물 아파트’ 공사 재개를 위한 신호탄

[뉴스스텝] 이천시는 10월 31일, 지난 27년간 도심 속 흉물로 방치되어 온 이천시 장호원 이황리 아파트 공사 재개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변경 결정고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아울러 지난 7월 29일 이천시 건축심의 위원회에서 ‘장호원 이황리 아파트 주택사업 승인계획’이 통과되어 현재 공사 재개를 위한 행정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장기간 멈춰있던 사업이 재착공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이황리 아파트는 부

시흥도시공사, 찾아가는 공정무역 캠페인 진행

[뉴스스텝] 시흥도시공사는 지난 18일과 25일, 공정무역 포트나잇(10월 24일부터 약 2주간)을 맞아 시흥시 내 공정무역 가치 확산과 활성화를 위한 ‘찾아가는 공정무역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이번 캠페인은 시흥시 공정무역 사업 수행기관인 시흥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협약기관인 시흥공정무역협의회와의 협업으로 추진됐다. 시흥시 공정무역 활동가(페이메이커스 사회적협동조합 소속)의 진행으로 공사 공정무역 판

경기도의회 이서영 도의원, 14억8천만원 투입 '야탑중 챌린지홀' 완공 현장 방문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이서영 도의원(국민의힘, 비례)은 총 14억 8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리모델링 및 엘리베이터 설치가 완료된 ‘야탑중학교 챌린지홀’을 방문해 시설을 점검하고 학교 관계자들과 의견을 나눴다. 이번 사업은 김성수 교장과 학부모들의 민원이 계기가 된 대표적인 교육환경 개선 사업으로, 노후한 별관동을 학생 중심의 복합학습공간으로 새롭게 탈바꿈시킨 사례다. ‘챌린지홀’은 본관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