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상상플러스', 수도권 핫플 시장 벤치마킹…전통시장·골목상권 전략 구체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7 19:30:30
  • -
  • +
  • 인쇄
서울·인천 이색 골목상권 견학 통해 용인 적용 전략 모색
▲ 의원연구단체 ‘상상플러스’ 회원들과 관계자 등이 서울 광장시장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스텝] 용인특례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상상플러스’(대표 이진규)는 용인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 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최근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의 대표적인 시장 및 골목상권을 대상으로 벤치마킹을 진행했다.

이번 벤치마킹은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이 우리나라 대표 ‘핫플레이스’로 거듭날 수 있었던 배경과 전략을 분석해 용인 실정에 맞는 발전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한 취지로 추진됐다.

상상플러스 소속 의원들은 이틀 동안 ▲서울 이태원 시장 ▲광장시장 ▲익선동 ▲인사동 ▲인천 신포 국제시장 등 총 5곳을 방문해 지역별 특색 있는 시장 운영 방식과 상권 활성화 전략을 살펴봤다. 또한 각 지역에서 내세우는 대표 먹거리, 문화 콘텐츠, 관광 연계 전략 등을 직접 체험하며 실질적인 접목 가능성을 검토했다.

벤치마킹 첫날에는 서울 이태원 시장, 광장시장, 익선동, 인사동을 방문해 글로벌 문화요소와 전통 요소가 어우러진 관광형 상권의 사례를 확인했다. 둘째 날에는 인천으로 이동해, 신포 국제시장을 둘러보며 관광형 전통시장의 운영 방식과 외국인 관광객 유치 전략을 분석했다.

의원들은 특히 ▲이태원 시장의 글로벌 감성과 콘텐츠 전략이 용인 보정동 패션상가 및 카페 거리와 접목 가능성이 있는지 ▲광장시장과 신포 국제시장의 관광형 운영 모델이 용인 중앙시장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익선동과 인사동의 골목 기반 문화 콘텐츠 모델이 포곡 관광자원과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 등에 주목했다.

이진규 의원은 “넷플릭스 ‘Street Food’에 소개되거나, 리얼리티 프로그램 촬영지로 부각되며 내외국인 모두에게 사랑받는 핫플 시장들의 지역 경제를 견인하는 사례들을 통해 용인만의 차별화된 골목상권 활성화 전략을 구체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용인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활성화’를 연구과제로 설정한 상상플러스는 지난 4월 구성된 의원연구단체로, 이진규 의원을 대표로 황미상(간사), 신민석, 박희정, 박은선 의원 등 총 5명이 활동 중이다. 연구단체는 이번 벤치마킹 내용을 종합해 용인시 실정에 맞는 정책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포항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접수 12일 마감…마지막까지 신청 지원 총력

[뉴스스텝] 포항시는 오는 12일로 다가온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접수 마감을 앞두고 아직 신청하지 못한 시민들이 기한 내 신청을 마칠 수 있도록 총력 지원 체계를 가동한다고 9일 밝혔다.9월 1일 기준 지급 대상자 48만 5,852명 중 48만 411명에 대한 지급이 완료돼 지급률은 98.9%에 달했다. 시는 미신청자를 대상으로 우편 안내와 개별 전화, 이·통·반장 협조 등을 통해 전수 안내를 이어가는

여수시, ‘제2회 국제 웹드라마 영화제’ 9월 10~12일 개최

[뉴스스텝] 여수시는 오는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여수세계박람회장 엑스포컨벤션센터 일원에서 ‘제2회 여수 국제 웹드라마 영화제’를 개최한다. 이번 영화제에는 국내외 웹콘텐츠 관계자와 시민, 관광객이 함께할 예정이다.지난해 ‘제1회 여수 국제 웹페스트’가 성황리에 치러진 데 이어 올해는 “Wave of Web drama, YEOSU”를 슬로건으로 영화제 규모를 더욱 확대했다.특히 여수시는 웹드라마

인천시 중구, ‘2025년 장애인 자립 지원 인식 개선 교육’ 실시

[뉴스스텝] 인천시 중구는 지난 5일 중구청 서별관 회의실에서 장애인 자립 지원 네트워크 실무자, 동(洞) 보건복지팀 팀장·담당자를 대상으로 ‘2025년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지원 인식 개선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인천시 2차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지원 5개년 계획’에 따라, 장애인의 안정적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인식 개선을 이루고자 인천 중구와 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가 마련한 자리다. 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